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맞대면
면접
대결
직면
조우
대질
면회
뉴스
"
대면
"(으)로 총 60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론에서나 가능하다던 ‘수소 도핑’ 첫 성공
2015.12.01
방법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전기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그간 개발이 어려웠던 고효율
대면
적 반도체 및 투명 전극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서형탁 아주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최덕균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금속 산화물 반도체 표면에 흡착된 수분을 자외선으로 광분해 ... ...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1.30
나니아 연대기>, , 등 이름만
대면
알만한 미국 헐리우드 영화 속 캐릭터들은 이 분이 없었다면 탄생하기 어려웠을 거예요. 바로 카이스트 노준용 교수님! 노준용 교수님은 세계 3대 특수효과 전문회사인 ‘리듬앤휴즈 스튜디오’에서 영화에 쓰이는 여러 컴퓨터 그래픽 ... ...
[Health&Beauty]보청기 착용해 기억력을 되돌린다
동아일보
l
2015.11.25
에너지를 하루 종일 쓰다 보니 초저녁이 되면 벌써 녹초가 된다. 특히 상사나 처음
대면
하는 상대가 부담스러워지고 각종 만남들이 귀찮아지면서 결국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고독 속으로 숨게 된다. 혼자만 겪게 되는 불편함에 주변 사람들을 원망하기까지 한다. 사회적인 고립과 원망, 그로 인한 ... ...
검은 인, 흑린(黑燐)의 변신
2015.11.03
원자막보다 상온에서 10배 이상의 빠른 전하 이동도를 보이면서도 단일 원소로 구성돼
대면
적 공정이 가능하다. 최근 최원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황도경 선임연구원팀과 임성일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흑린 원자막 소재를 이용해 안정적인 메모리 소자를 제작해 ... ...
[비교해봤습니다] 애플페이 vs. 삼성페이
2015.11.03
데 있다. MST 기술을 이용하면 흔히 볼 수 있는 신용 리더기에 스마트폰을 그대로 가져다
대면
결제가 이뤄진다. 소매점 입장에선 전용 NFC 단말기를 구입할 필요가 사라지는 것이다. 이 방법은 신용카드에 붙어 있는 마그네틱 정보를 스마트폰 속에 저장해 둔다. 결제를 할 땐 자기장을 휴대전화 ... ...
와이퍼 필요없는 자동차 나올까
2015.10.06
것이다. 연구팀은 아조분자를 실리카 표면에 쪼여 30nm 이하인 나노 구조를 갖는
대면
적 실리카 구조체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또 원형의 홀에 빛을 조사해 타원형의 홀과 기둥 구조를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는 유리 표면의 입자 모양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여서 물을 ... ...
접을 수 있는 고효율 태양전지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09.20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우수한 광전특성을 가진 티엠디를
대면
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산업적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9월 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태양전지에 붙이면 효율 쑥 올라가는 필름 나왔다
2015.09.09
거리가 길어지는 만큼 광흡수율은 높아진다. 김 교수는 “이 필름은 적은 비용으로
대면
적으로 만들 수 있고, 투광도와 광산란도 조절도 쉽다”며 “향후 태양전지 뿐 아니라 LCD, LED 등 다양한 소재와 장치의 효율과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이영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과 양희준 연구위원.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원자 한 층 두께의 신소재를 ... 줄었기 때문이다. 양 연구위원은 “반도체 상용화를 위해서는 현재 1㎠ 수준인 MoTe2를
대면
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머리카락 굵기 10만 분의 1 간격 금속센서 개발
2015.08.03
UC버클리) 공동연구팀은 균일한 금속 간 초미세간극(ultrasmall gap)을 이용한 금속센서를
대면
적으로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2개 이상의 금속 나노 구조체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간극은 주변 전자기장을 강하게 증폭할 수 있어 태양전지, 메타물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다.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