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맞대면
면접
대결
직면
조우
대질
면회
뉴스
"
대면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를 만든 부품은 외계로부터
2014.11.30
되기도 한다. 식물이 단순한 보호와 애호의 대상이 아닌 역사와 사회 속에서 인간과
대면
해온 식물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 제공 ◆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장하석 著, 지식채널 刊) 영국 케임브리지대 석좌교수이자 ‘과학철학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43명 중 1명꼴로 흔하게 나타난다고 설정하고 있다. 이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상대방과
대면
한 상태뿐 아니라 전화나 문자로 거짓말을 해도 딸꾹질을 하는데, 거짓말을 바로 잡아야 딸꾹질이 멈춘다. 거짓말의 경중에 따라 딸꾹질의 정도도 달라져서 사소한 거짓말을 한 경우엔 시간이 지나면 ... ...
그래핀 결함만 찾아내 수리한다
2014.09.10
금이 가는 등 결함이 발생해 그래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대면
적 그래핀의 결함이 가스와 잘 반응하는 특성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백금 전구체’ 가스를 결함 부위에 정교하게 흘려주면 결함 부위에서 흡착이 일어나 그래핀의 결함이 치유됐다. 백금 전구체는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7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전극을 위아래로 배치한
대면
적 수직형 LED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주입하고 분산시키는 기술이 관건이었으나 기존 전류주입 방식은 면적이 넓어질수록 발광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98%의 ... ...
단식의 과학
2014.06.16
줄여나가다가 마침내 하루에 콩죽 한 방울씩만 먹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배에 손을
대면
등뼈가 만져지고 눈두덩은 물이 마른 웅덩이처럼 움푹 파였다. 그러나 이렇게 육신을 학대해 극심한 고통을 자초하는 게 해탈의 길이 아님을 깨달은 싯다르타는 ‘죽을 먹어야겠다’고 결심한 뒤 ... ...
‘땀구멍 지도’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4.04.30
다음 코팅해서 필름 형태로 만들고 자외선으로 굳힌 것이다. 이 물질에 손가락 끝을
대면
땀구멍에서 나오는 수분을 감지해 땀구멍이 어떻게 배열돼 있는지가 등고선 모양의 지도로 표시된다. 땀구멍 지도는 지문의 무늬처럼 개인마다 고유한 패턴을 지니고 있다. 이번 연구는 땀구멍의 ... ...
바이러스로 정수기 필터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4.04.06
95% 이상이었다. 유 교수는 “바이러스를 분리막 소재로 이용해 친환경적이면서
대면
적으로 제작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면서 “기존 분리막보다 정수 처리 능력과 불순물 제거 능력이 뛰어난 만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약육강식의 기업 세계, 목표가 명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4.03.06
송이화 책임연구원의 개인적인 목표는 방산분야를 ‘접수’하는 것이다. 자신의 이름만
대면
업계 사람들이 모두 고개를 끄덕일 만큼 괜찮은 연구자로 남고 싶다는 생각을 항상 한다. 송 연구원은 “언뜻 보기에 방산분야가 여성과 어울리지 않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꼼꼼함을 요구하는 부분이 ... ...
꿈의 소재 ‘그래핀’ 상용화 눈 앞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맞춤형 그래핀 소재를 만드는 길이 열렸다”며 “유연하고 전기가 잘 통할 뿐만 아니라
대면
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그래핀을 상용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소재 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초대석]세계수학자대회 유치 주역 박형주 조직위원장
동아일보
l
2014.01.27
쓰이고 있다. 현재 널리 쓰이는 교통카드에도 수학의 비밀이 숨어있다. 카드는 단말기에
대면
바로 정보가 읽히기 쉽게 만들어야 하는데 정보가 쉽게 판독되도록 하는 것과 보안 문제는 모순관계에 있다. 다시 말해 보안을 위해 암호를 복잡하게 만들면 해독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생긴다. 바로 이 ... ...
이전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