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뉴스
"
조상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천성 빈혈 발병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3
있는 사람은 유전적으로 말라리아에 강한 내성을 보인다. 아프리카나 지중해 연안의
조상
들이 말라리아에 견디기 위한 유전적 선택이었던 것. 그래서일까. 혹독한 말라리아에서 살아남은 유전자는 미국에서는 5000명 당 1 명, 특히 흑인일 경우 500명당 1명이 겸상적혈구빈혈증을 앓고 있을 정도로 ... ...
‘4억년 전 얼굴’ 물고기 화석 발견, 가장 오래된 얼굴
동아일보
l
2013.10.04
기원 밝혀지나 - 中서 1억6000만년전 신종화석 발견… 공룡시대 포유류 다구치목
조상
추정 - [O2]사라진 베이징인 화석, 야쿠자 금고에?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수백만 년 뒤 인류는 어떻게 진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9.16
한가위를 맞아 더욱 발칙한 상상을 했다. 이미 지나간 과거에 살았던
조상
이 아니라 미래시대에 살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후손을 미리 만나본 것이다! 이미 영국 스코틀랜드의 동물학자 두걸 딕슨은 저서 ‘맨 애프터 맨’에서 미래 인류의 모습을 상상했다. 그는 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된 미래에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자콥(Teuku Jacob) 교수는 LB1이 현재 플로렌스 섬에 살고 있는 피그미족인 람파사사의
조상
으로 ‘이상소두증’이라는, 뇌가 비정상적으로 작은 질환에 걸린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두개골 전문가인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딘 폴크 교수 등 여러 전문가들이 재반박하는 연구결과를 ... ...
왕릉을 앞뒤로 배치한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바뀌면 도장(倒葬)이라 하여 매우 좋지 않게 여겼다. 역적이 나면 삼족을 멸한 후 그
조상
의 묘를 그 같이 옮겼다고 한다. 효종의 능에만 3면의 곡장을 두르고 왕비의 능은 두르지 않았는데, 정자각과 곡장 사이를 하나의 공간으로 해석해 왕과 왕비가 같은 방을 쓰고 있다는 의미다. 두 능의 ... ...
고양이나 쥐가 살기 어려운 곳은 사람도 살기 어려운 곳
동아사이언스
l
2013.08.18
천장 사건은
조상
의 기운이 후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동기감응 혹은 친자감응의 예로서 잘 알려져 있다. 세종의 묘를 잘못 택했기 때문에 조선 초기에 수많은 환고가 있었지만 천장을 한 후에는 지덕 때문에 후손에게 큰 불행을 초래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묘택을 잘 쓰면 후손이 행복하며 ... ...
王家의 기를 누를 정도로 강한 세도가의 묫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13.08.13
지금까지도 음력 10월 10일이 되면 두 가문이 같은 날에 묘제를 지내고 서로 상대방의
조상
에게도 잔을 올리고 참배를 하는 등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이인손이 세상을 떠나기 전에 지관은 자신이 일러주는 내용을 유언으로 쓰는 조건으로 묘택의 위치를 알려주었다. 묘택 앞을 흐르는 개울에 절대로 ... ...
덕수궁 보존의 비밀은 특별한 곡선 덕분?!
수학동아
l
2013.08.07
수학 탐구 활동을 할 수 있어서 더 좋았다”고 소감을 이야기했다. 이밖에도
조상
의 지혜가 빛나는 덕수궁 속 수학 이야기 등 수학클리닉 8월 프로그램의 자세한 내용은 수학동아 9월 호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
알고 싶어요. 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무관심한 편이지만 그래도 지구에서 별로 보이지 않는 두 천체, 즉 해와 달(그래서 우리
조상
들은 천체를 아울러 ‘해와 달과 별’이라고 불렀다)을 보면 참 신비롭다는 생각이 든다. 해의 지름은 139만km으로 달의 지름인 3476km보다 400배나 더 크지만, 지구에서의 거리는 해가 1억4960만km로 달의 38만4 ... ...
거북 등딱지 가슴뼈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3.07.24
내골격일까? 일본이화학연구소 타츠야 히라사와 박사팀은 거북의 등딱지가 거북
조상
의 흉곽(가슴뼈)에서 발달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9일자에 발표했다. 척추동물의 뼈는 내골격과 외골격으로 나눌 수 있다. 사람의 뼈는 내골격이며, 악어나 천산갑의 골질피부는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