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뉴스
"
조상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발견한 사건에서부터 50억 년 전 세포가 처음 출연하고 이후 출연한 ‘분화직전 공동
조상
(LUCA)’이 오늘날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진핵생물, 고세균으로 분리되는 미스터리한 사건을 조명하며 생물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을 융합한 그만의 답을 내놓는다. 2부의 주제는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환경호르몬의 작용이나 돌연변이로는 설명할 수 없었다. 연구자들은 화학물질에 노출된
조상
이 다른 쥐들을 다양하게 교배했고 3대, 4대에 걸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스키너 박사팀은 2005년 6월 3일자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 결과를 발표했고 생물학계가 발칵 뒤집혔다. 그러나 여러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예수가 간질발작을 하는 소년을 치료하는(악령을 몰아내는) 장면이 나온다. 우리
조상
들도 간질을 ‘지랄병’으로 부른 것으로 봐서 비슷한 인상을 받은 것 같다. 그런데 최근 정부가 간질 대신 ‘뇌전증’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는 발표를 했다. 간질이 잘못된 표현은 아니지만 워낙 ... ...
씨앗이 새 타고 1만8000km 이동
과학동아
l
2014.06.23
아프리카 남동쪽 해상에 위치한 레위니옹 섬에 서식하는 아카시아 나무들의 직계
조상
이 지구 반대편 미국 하와이 섬의 코아 나무라는 사실을 확인해 ‘뉴 파이톨로지스트’ 최신호에 발표했다. 레위니옹 섬의 아카시아 나무와 이 섬으로부터 1만8000km 떨어진 하와이 섬의 코아 나무는 매우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5억 년이 넘는 게 맞지만 나머지 척추동물들은 약 3억6000만 년 전 물고기처럼 생긴 공동
조상
에서 진화한 것”이라며 진화는 선형적으로 이뤄진 게 아니라 방사적으로 일어났다고 설명한다. 또 4억 1000만 년 전 데본기가 ‘어류의 시대’인 건 맞지만, 물고기의 종분화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난 건 ... ...
네안데르탈인 직계
조상
두개골 발견
과학동아
l
2014.06.22
진화를 거듭할 때”라며 “두개골의 생김새 특징으로 볼 때 네안데르탈인의 직계
조상
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크리스 스트링어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 박사는 이번 성과에 대해 “이 고인류에게 새로운 이름을 붙이기보다는 ‘초기 네안데르탈인’ 정도로 부르면 될 것”이라고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퇴화가 급격히 느려졌다. 특히 약 2500만 년 전 갈라진 인류와 붉은털원숭이는 공통
조상
이 갖고 있던 Y염색체의 유전자를 온전하게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Y염색체의 퇴화가 멈춘 상태라는 말이다. 앞으로 인류의 진화가 어떻게 전개될지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겠지만 Y염색체가 ... ...
대벌레에서 ‘종의 기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18
꺼풀 벗겨냈다. 영국 셰필드대 패트릭 노실 교수팀이 이끈 국제 공동연구진은 같은
조상
에서 분화한 종들 사이에서 비슷한 특성이 나타나는 ‘평행진화’ 현상을 대벌레에서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한 종의 대벌레가 서로 다른 나무에 살면서 다르게 적응한 두 가지 ‘생태형’이 ... ...
감자부터 북극곰까지 15년간 게놈클럽 회원 240명 넘어
과학동아
l
2014.05.09
사는 현생 인류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일부 섞여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우리의 먼
조상
중에 네안데르탈인이 있다는 뜻이다. 이 연구 결과로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는 종이 달라 교배가 불가능하다는 기존 학설이 뒤집혔다.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사는 제비 무리들은 인가를 찾을 시도를 하지 않았던 것일까. 아무튼 분명한 것은 우리
조상
들은 ‘강남 갔다 돌아 온’ 제비들을 기꺼이 반겼다는 말이다. 이런 사람들의 마음이 산책로 바로 옆에 둥지를 튼 저 작은 새의 가족들에게도 이어지기를 바란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