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뉴스
"
조상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쥬라기월드’ 최강 공룡과 ‘맞짱’ 뜬 안킬로사우르스, 비밀 병기는?
2015.08.31
피나코사우르스가 살았던 7500만 년 전에 이르러서야 모습을 드러냈다. 안킬로사우르스의
조상
공룡 3종의 해부학적 구조를 비교분석한 결과, 안킬로사우르스가 꼬리 끝에 커다란 뼈뭉치를 갖기 이전부터 진화 과정에서 꼬리 근육을 착실하게 진화시켜왔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다른 공룡들처럼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계통분류학의 관점에서 효모가 대장균보다 사람이나 벼에 더 가깝다고 하면(공통
조상
에서 갈라진 시점이 더 최근이라는 말이다) 그건 분류학의 얘기라고 무시하고 싶지만 유전자의 발현 과정, 생체분자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봐도 과연 그렇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 개똥쑥 유전자 3개 도입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2011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는 파스트리아누스 게놈이 절반을 부여한
조상
효모를 찾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놀랍게도 라거맥주가 탄생한 유럽이 아니라 지구 반대편에 있는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의 숲에서 채집한 야생 효모였다. 이 효모의 개놈을 분석한 결과 파스트리아누스 ... ...
문어 게놈 첫 완전 해독
2015.08.16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오징어, 모시조개와 같은 다른 두족류와 문어가 동일한
조상
을 갖고 있지만 약 2억7000만 년 전부터 독립돼 진화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영리한 육상동물이 소개됐다. 비단원숭이로도 알려진 새끼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다시 고릴라와 침팬지 같은 영장류 사회를 탐구하게 시작한다. 사람 역시 이들과 같은
조상
에서 갈라져 왔기 때문에 어떤 진화적 흔적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다. 저자는 영장류와 사람 사이의 싸움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야생침팬지의 경우도 전쟁을 한다. 혈연관계에 있는 ... ...
[GMO 르포] 美 듀폰 파이오니어, 몬샌토 연구센터 가 보니
2015.08.07
있다. ‘신의 곡물(Grain of the Gods)’로 불리는 테오신트도 보였다. 테오신트는 옥수수의
조상
으로 꼽힌다. 하지만 옆으로 잎을 활짝 벌린 테오신트에서 옥수수와 닮은 구석이라곤 찾아볼 수 없다. 열매도 옥수수보다 훨씬 작다. 제리 플린트 부사장은 “테오신트가 자연 상태에서 옥수수로 ... ...
보노보와 아기, OOO이 닮았다
2015.08.04
구조는 어린아이의 소리와 비슷하다. 클레이 연구원은 “600만~1000만 년 전 우리와 공통
조상
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보노보에서 사람의 미성숙한 언어 능력을 발견했다”며 “앞으로 인간과 동물 사이의 유사점을 더 찾고 싶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피어제이(PeerJ)’ 4일자에 실렸다.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투구게와 매우 비슷한 모습이었답니다. 약 1억 5000만 년 전에 살았던 투구게의
조상
‘메솔리물루스 발키’의 화석(왼쪽). 오늘날의 투구게(오른쪽)와 생김새가 거의 똑같다. - 글항아리 제공 오늘날의 투구게는 4종으로 동남아시아에 3종, 북아메리카 동부에 1종이 살고 있어요. 그 중 일본과 중국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직계
조상
은 아니지만, 동물과 식물이 육지에 자리를 잡는 이런 과정을 통해 우리의 직계
조상
도 등장할 수 있었다. 식물과 동물이 이 때 육지로 올라온 데에는 오존층의 역할이 컸다.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층은 자외선이 지표에 도달하지 못하게 막아준다. 오존층이 없을 때에는 자외선이 ... ...
대나무 없인 못살아! 판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30
여러 가지 선택을 해야 했어요. 다른 곰들처럼 육식이나 잡식으로 먹이를 먹었던 판다의
조상
은 어느 순간 대나무를 좋아하게 됐어요. 다른 먹이도 먹었지만 주로 대나무를 찾아다녔지요. 그리곤 지금 판다가 사는 중국 서부 쓰촨성 지역에 정착했어요. 이 지역은 대나무가 풍부한 대신 다른 먹이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