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뉴스
"
조상
"(으)로 총 59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어떻게 이런 극단적인 차이를 보이는 걸까. 사람의
조상
과 침팬지/보노보 공통
조상
은 약 700만 년 전 갈라졌고 침팬지와 보노보는 약 200만 년 전 갈라졌다. 따라서 둘이 사촌이라면 사람은 이들과 육촌쯤 될 것이다. 그런데 폭력성으로 분류하면 사람과 침팬지가 묶인다. 영장류 폭력성 진화를 봐도 ... ...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10.19
데이비드 바그너 박사팀은 페스트균이 14세기 유럽에서 흑사병을 일으킨 페스트균의
조상
이 아니며,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을 유행시킨 뒤 사라졌다는 사실을 밝혔다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사바나(초원)로 바뀌는 1000만~600만 년 전 C4 식물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침팬지와 공통
조상
에서 인류가 진화를 시작한 시점과 비슷하다. C3 식물이 유인원들이라면 C4 식물은 사람인 셈이다. 놀랍게도 이렇게 C4 광합성을 ‘발명’한 식물은 무려 61가지 계열에 이른다. 즉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조작’모기 풀어 모기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0.16
125개 집단 379명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했다. 분석 결과 모든 인류의
조상
이 아프리카에서 출현했다는 아프리카 기원설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그러나 파푸아뉴기니의 일부 원주민들은 기존 아프리카 기원설보다 더 빠른 시기에 갈라져 나온 것으로 밝혀져 인류 이동의 시기를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시온주의 운동에 깊이 관여했다. 시온주의란 유럽 각지에 퍼져 있는 유태인들이
조상
의 땅인 팔레스타인에 자신들의 조국을 건설하려는 목적을 실현하려는 민족운동다. 헝가리 태생의 저널리스트 테오도르 헤르츨이 주도해 1897년 스위스 바젤에서 세계시온주의자기구를 설립했다. 바이츠만은 ... ...
화성행 편도 우주선 티킷을 수억 원에 구매할 사람은 누구?
2016.10.09
대륙을 넘고, 거친 바다로의 항해를 시작해 새로운 대륙을 발견한 일부 용감했던 우리의
조상
들처럼, 목숨을 걸고라도 화성으로의 편도행에 몸을 싣고 훗날 영화 ‘토탈 리콜’에서 그려진 것같은 화성 정착지의 기초를 닦고 싶어할 사람들이 분명 있을 것 같기는 하지만 말이다. ※ 참고 ☞ 일론 ... ...
수학자 족보가 있다!
수학동아
l
2016.10.07
살았던 수학자의 2/3는 크게 24개 학문적 가족 안에 모두 속했습니다. 각 가족의 최고
조상
중에는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같이 유명한 수학자도 있었고, 14세기 말에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물리학을 공부했던 시지스몬도 폴카스트로, 19세기 러시아 출신 수학자 이반 돌브냐도 있었습니다. 수학자 계보 ... ...
지진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개 꼽아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종(種)의 수도 일부에 그친다. 생명체가 그 형태를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같은
조상
을 가진 생명체라도 외부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진화하는 현상을 우리는 ‘종 분화’라고 부른다. 연구진은 인류와 침팬지와 관계처럼 아시아,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대륙에 존재하는 자매 종 포유류와 ... ...
308년 된 집의 비밀을 찾아라!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9.30
싶다”고 외쳤어요. 독자 친구들도 우리나라 곳곳에 있는 고택에 숨은
조상
의 지혜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윤증고택의 장독대. 고택에서는 지금도 매년 직접 장을 담근다. - 김은영 기자 gomu51@donga.com 제공 도움| 윤완식 (명재 윤증 선생 13대손, 현 윤증고택 소유주 ... ...
운명적인 장소
2016.09.24
움직이는 거리와 범위가 그들의 생활공간이자 터전이다. 농경 사회를 이룬 우리
조상
들의 활동 범위는 유목민에 비하면 훨씬 협소하다. 1950년대 말에 별세하신, 대전에서 평생을 가난한 소작농으로 사셨다는 나의 조부께서 일생 동안 가장 먼 길을 가보셨다는 곳이 고작 지금의 대청호수 아래에 잠긴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