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여름 냉방 에너지 절감할 오색빛깔 복사냉각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복사냉각 액정 소재의 구조와 실제 구현된 소재 사진. 첨가물인 '카이랄 도펀트' 양을
조절
하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KIST 제공 연구팀은 고체 결정과 액체의 중간 성질을 나타내는 소재인 '액정'을 나선형으로 만들어 기존 광결정 소재 문제를 해결했다. 이미 상용화된 액정(LC242)이 복사냉각 ... ...
혈액암 항암제 효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상호작용(PPI) 네트워크인 단백질 복합체의 역동성에 주목해 표적 항암제의 세포자살
조절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단분자 공면역침강(SMPC)’이라는 기술을 개발해 총 22종의 BCL2 단백질군 PPI 신호 검출 방법을 확립했다. 단분자 형광 이미징 기법을 활용한 이 기술은 약 3만개의 미량 세포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면역 활성 유발 인자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의 형성 및
조절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면역 계통 질환을 비롯해 다양한 퇴행성 질환의 발병 및 진행 과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진 KAIST ... ...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물질로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인 CB1, CB2와 결합해 기분이나 통증, 식욕, 면역 반응 등을
조절
한다. 함 책임연구원은 "우리 몸에서 엔도칸나비노이드가 만들어지면 수용체와 만나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데 보통 식욕이 올라가거나 통증이 억제되는 등의 반응이 나타난다"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효소가 ... ...
하늘에 구멍 뚫린 듯한 극한호우, 대응책은 있을까
2024.07.19
고 설명했다. 이처럼 옥상 정원, 투수성 도로 포장 등 도심 녹지요소를 활용해 홍수를
조절
하는 전략을 '그린 인프라'라 한다. 1990년대 들어 '베를린의 여의도'라고 할 수 있는 포츠담 광장에도 우파 파브릭의 설계를 적용했다. 전체 면적 2만6444제곱미터(m2)인 포츠담 광장에 내리는 비는 모두 포츠담 ... ...
오류 적은 차세대 양자컴 실현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손창희 교수는 "박막 구조가 양자 스핀 액체 후보 물질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조절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며 "양자 오류 정정이 필요 없는 위상 양자 컴퓨팅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adv.adn8694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⑩ "다양한 유연근로제가 과학자 일과 가정 양립 도와"(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육아휴직제도'가 확실한 답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문 이사장은 근무 시간을 유연하게
조절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제'가 필요하다고 헀다. "과학자는 다른 직종과 다른 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문성 때문에 다른 인력으로 오래 대체되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아요. 연구를 ... ...
뇌세포 '골지체 이온채널' 발견…"인지장애 치료 열쇠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이처럼 양이온이 이동하는 통로이며 음이온 채널과 함께 골지체의 막전압을 적절히
조절
해 내부 산도 등 항상성 유지에 기여한다. 연구팀은 골프캣 손상에 따른 생물학적 기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골프캣 유전자가 결손된 생쥐의 뇌세포를 관찰했다. 그 결과 골프캣 손상 시 골지체가 파편으로 ... ...
고품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면적화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조절
을 통해 최적의 점도를 확보했다. 전기적 결함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해 산성도
조절
에 성공해 태양전지 모듈을 만들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페로브스카이트 모듈 단위에 적용할 경우 넓이가 24.5cm^2과 214cm^2순으로 면적이 커져도 기존의 단위소자 수준에서 성능과의 ... ...
아라온호 15번째 북극 여정 출발…북극 해빙·메탄 방출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기후변화로 여름철 해빙 면적이 줄면서 해빙이 온도
조절
기능 역할을 다하지 못하면서 이에 따라 중위도 지역에 이상기후 현상을 일으킨다고 알려졌다. 아라온호 연구팀은 북극해에서 가장 빠르게 변하고 있는 태평양 방향 북극해에서 해빙과 해류의 특성을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