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것처럼 관측된다.아마도 상호충돌로 인해 거대하게 변화한 은하는 은하단의 중심부에
위치
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은하단의 중심부에서는 cD은하라고 불리는 보통의 은하에 비해 질량이 1백배 이상이나 되는 거대한 은하가 관측되는 경우가 많다.우주에서는 초대형의 cD은하들 뿐만 아니라 서로 ... ...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사활적 운명이 걸린 격전장이었다. 미드웨이가 미대륙과 아시아대륙의 중간 지점에
위치
해 있기 때문에 그 전략적인 가치는 대단히 높았다. 말 그대로 미드웨이(midway)였기 때문이다.미국은 이미 일본의 D형 암호해독을 통해 대략의 일본군 공격방향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 정확한 지점이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균열을 따라 분출한 용암 때문이라고 풀이한다. 하와이제도의 사슬고리중 가장 남서쪽에
위치
한 하와이섬은 '열점'(hot spot)이 원인이 된 대규모 화산폭발의 결과 탄생했다. 열점은 지구내부의 마그마가 분출되는 바다밑바닥의 어느 지점으로, 하와이제도의 다른 섬들도 모두 이 열점을 통과하면서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이 참고서는 알게 모르게 입학시험에 막강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교과서보다 중요한
위치
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런 악순환은 벌써 교육현장에 뿌리내린 지 오래다.'과학은 좋아하지만 과학수업은 싫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과학을 많이 배울수록 과학이 싫어진다. '이런 말들은 몇몇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컴퓨터모의실험(simulation)을통해 밝혀냈다. 당시 그는 이 행성의
위치
가 궁수자리(Sagittarius)와 전갈자리(Scorpious) 사이에 있을 것이라는 추론도 세웠다.10번째 행성의 존재는 해왕성의 궤도이탈 경향으로도 증명되는 것이었다. 천문학자들은 행성 X의 영향으로 해왕성이 예측됐던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거론된다. 첫째로 지각(地殼)의 변동으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둘째로 베네치아가
위치
한 섬들의 기반이 침강하기 때문이다. 대홍수가 있었던 이후 1960년대 말부터 베네치아를 구출하기 위한 야심적 보존사업이 시작됐다. 세계각국에서 파견된 전문보호단체들이 베네치아의 건물들을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우리는 소행성의 너비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동시에 여러명이 이를 관찰한다면 관찰
위치
에 따라 소행성의 너비에 얼마나 차이가 생기는가를 알 수 있게 되고 이로부터 소행성의 모양을 파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소행성들은 그 모양이 매우 불규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모든 ... ...
(1) 컴퓨터를 가전제품처럼 쓸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더구나 자연과학분야에서 사용되는 높은 차원의 수치와 그들간의 상관관계 등은 색깔
위치
형태 동적변화 등을 혼합해 적절한 형태로 보여주어야만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관리기법에도 가시화(visualization)기술이 많이 이용된다. 프로그램이라는 매우 복잡한 조직체를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히아데스(Hyades)성단과 플레이아데스(Pleiades)성단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삼태성이 뜨는
위치
를 확인하면 자신이 서 있는 곳에서 정확히 동쪽이 어딘지 알 수 있다.삼태성의 남쪽에 오리온이 차고 있는 칼을 나타내는 세개의 작은 별이 일직선으로 놓여있다. 이들을 삼태성과 비교해 소삼태성이라고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정부출연연구소의 설립, 뒤이어 민간기업 연구소붐으로 KIST가 6,70년대의 절대적인
위치
는 상실했지만 신소재분야에 있어서 만큼은 각종 연구개발을 주도한다.신소재연구 총본산 KIST신소재연구사업단안에 금속재료연구단(부장 최주) 세라믹스재료연구단(정형진) 고분자재료연구단(김정엽)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