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미래형으로만 느끼는 것 같다. 하지만 놀랍게도 양자암호기술은 이미 현실이 되고 있다.
지난
4월 21일 오스트리아 빈의 시장은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 방식의 은행 송금시스템으로 빈대학의 짜일링거 교수에게 3천유로(약 4백만원)를 보냈다. 빈 시장은 이 송금시스템을 개발한 짜일링거 교수에게 ... ...
과학체험으로 시작하는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미래 과학도들이 '만나고 탐구하고 느끼는 첨단과학실험실'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지난
7월 21일 대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을 찾았다. 일반 과학자도 접하기 쉽지 않은 첨단기기들을 견학하고 직접 다뤄보기 위해서다.재미있는 퀴즈와 문제풀이로 관찰력, 사고력, 상상력을 키우는 ‘과학자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979년 미 매사추세츠주 워번시.
지난
10년 동안 12명의 어린이들이 백혈병에 걸렸다. 이 도시에서 10년 동안 평균 5.3명의 어린이들이 백혈병에 걸리는 통계치를 생각하면 12명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큰 숫자였다.희생자 어머니들을 중심으로 주민들은 ‘더 깨끗한 환경을 위하여’ (FACE)라는 모임을 ... ...
땅위를 달리는 우주선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우주복의 냉각 메커니즘의 산물이다.회사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옷의 무게를
지난
해의 절반 수준으로 줄일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와 함께 공기냉각 장치와 수분 섭취 장치가 달린 신형 헬멧도 하반기 중 보급될 예정이다. 신형 헬멧은 이미 2003년 파리-다카르 랠리에서 처음 사용돼 성공리에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가오첼리 교수를 만났다.문 칭화대의 연구수준은 국제적으로 어떻게 평가되고 있나?답 :
지난
해 칭화대는 8천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중 2천여편이 국제과학기술논문색인(SCI)에 올랐다. 교수 1인당 1편의 SCI 논문을 낸 셈이다. 5년 전인 1998년 발표된 6천여편의 논문 중 4백24편만이 SCI에 등재된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제공합니다. 개미는 인간과 비슷한 사회성을 갖기 때문이죠.”오랜 개미 연구끝에
지난
1999년 처음 출간된 ‘개미제국의 발견’ 은 그를 처음 대중과 만나게 한 계기가 됐다.하지만 원래 그는 영장류 연구에 더 관심이 있었다. 그러나 관련 연구자가 많은 미국에서조차 연구에 여러 한계가 많았다.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KMLYP 방법의 개발로 강 교수는 시뮬레이션계의 일약 세계적 유명 인사가 됐다. 덕분에
지난
3월에는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명성을 자랑하는 ‘재료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에 대한 국제컨퍼런스’ 에서 한국인 최초로 자문위원에 위촉됐다.탄소나노튜브 수소연료전지 개발요즘 강 ... ...
자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 우리나라 최초로 미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개발한 망원경이다. 발사되고 약 1년이
지난
6월 10일 연구단은 갤렉스가 관측한 또다른 우주의 모습을 공개했다.이번에 공개된 우주모습 가운데 가장 압도적인 것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2백50만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은하다. 12장의 갤렉스 ... ...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고로 인한 후천적 원인으로 장애를 겪고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지난
해 국내 농가에서 사용된 화학비료와 농약은 66만여t. 1ha당 3백42kg의 화학비료와 13kg의 농약이 우리의 식단을 위협하고 있다.이같은 통계를 보고 있자면 최근 유행하는 웰빙 열풍은 자연스러운 현상처럼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또 청각 능력의 회복과 뇌의 반응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6년 동안 과학기술부 중점연구과제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뇌과학연구센터를 중심으로 뇌신경정보학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5개 과제 중 인공시각과 인공청각에 대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 ...
이전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