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금까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전혀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일까. 그건 아니다.
지난
1백여년 간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여러 면에서 검증 실험이 이뤄졌다. 실험이 정밀해질수록 그 결과는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가까워졌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왜 NASA는 아인슈타인의 ... ...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별을 감싸고 있는 벌레성운(bug nebula)의 화려한 모습이 허블우주망원경의 렌즈에 잡혔다.
지난
4월 29일 허블우주망원경 홈페이지에는 두 날개를 활짝 편 나비처럼 보이는 벌레성운의 역동적인 모습이 담긴 사진이 공개됐다. 남쪽 하늘 전갈자리에 위치한 벌레성운은 지구에서 대략 4천광년 떨어져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었다는 흔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최초의 새들이 4장의 날개를 가졌다는 이 주장은
지난
해 마이크로랩터의 발견으로 더 힘을 얻고 있다. 당시 발견된 마이크로랩터도 팔다리에 깃털이 달려있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랩터는 시조새보다 2천만년 후에 살았지만 4장의 날개로 하늘을 날았던 새에 ... ...
다이어트에는 저탄수화물 식단이 정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나자 여기에서도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한 쪽이 감량폭이 컸다. 그러나 12개월이
지난
뒤에는 양쪽이 서로 비슷했다. 저지방 다이어트를 한 쪽은 꾸준히 체중이 준 반면 저탄수화물 쪽은 6개월 뒤부터 체중이 정체했기 때문이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재향군인회의학센터의 린다 스턴 박사는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또 그는 평소 과학적 성과의 대중화를 주창하는 과학자로 유명하다. 이 때문인지
지난
4월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소장 취임차 한국을 방문했을 때도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사이언스코리아’운동에 관심을 표명하고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밝혔다.러플린 교수는 1996년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되는 현상이다. 실제로 골수이식 등 장기이식을 하고 수년이
지난
후 면역억제제를 끊을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때에는 자신의 골수 세포와 도입된 골수 세포가 서로 싸우지 않고 공존함을 직접 볼 수 있다. 관용현상은 특히 이식된 장기에 기증자의 면역세포가 ... ...
"인간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브로노우스키는 20세기의 르네상스인으로 불리는 과학자다. ‘인간을 인간으로 존재하게하는 독특함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라는 질문의 해답을 ... 위한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 라는 브로노우스키의 생각은 1973년에 나온 이 책이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빛을 잃지 않는 이유를 말해준다 ... ...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해 검사가 훨씬 간편하고 시간도 단축될 전망이다.영국의 BBC방송이
지난
4월 7일 소개한 미국 코넬대의 나노 검출 장치는 바이러스의 몸무게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그림 1)으로, 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단위의 다이빙대 모양이다. 다이빙대에 사람이 올라가면 몸무게에 따라 ... ...
칠레 원주민처럼 시련 이겨낸 꼬마 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하나로 구경 8.2m짜리 고성능 망원경(VLT) 4대가 우주를 향해 큰 눈을 부릅뜨고 있다.
지난
4월 1일로 4대의 VLT 가운데 첫번째 망원경이 파라날 천문대에 설치된지 꼭 5년이 됐다.유럽남반구천문대(ESO)는 이날 VLT 탄생 5주년을 기념해 그동안 VLT로 찍었던 천체사진 중 ‘베스트 20’ 을 선정했다. 이 가운데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책임진다. IBM이 추진중인 바이오백과사전 프로젝트의 정식 파트너로 인정한다는 뜻으로
지난
2003년 기증한 것이다.전산학을 전공한 이도헌 교수의 바이오정보연구실이 바로 슈퍼컴을 이용해 바이오백과사전을 편찬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바이오백과사전이란 생물의 유전자 정보를 한데 모아 놓은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