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86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 통하는 新 부도체 찾았다
2015.10.09
함께 이동한다. 이는 무빙워크가 움직이면서 타고 있는 사람을 이동시키는 원리와 같다.
연구진
은 주사터널현미경(STM)으로 인듐 원자 전선을 관찰한 결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솔리톤을 발견해 여기에 ‘카이럴 솔리톤’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염 단장은 “전자기기는 내부의 ... ...
현생 인류,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거 맞다
2015.10.09
학계에서는 이 시기를 3000년 전경으로 추정해왔다. 국내
연구진
을 포함한 국제 공동
연구진
은 4500년 된 고인류 화석의 유전체(게놈)를 분석해 이런 추정에 무게를 싣는 결과를 처음으로 얻었다. 연구팀은 에티오피아 남동쪽 모타 동굴에서 발견된 화석이 유라시안의 유전체를 전혀 지니지 않은 순수 ... ...
눈 혹사 이대로면 2050년엔 ‘눈먼 자들의 지구’
2015.10.08
눈은 매일 스마트폰 화면과 TV, 모니터 등을 들여다보느라 혹사당하고 있다. 최근 호주
연구진
은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가까운 미래에 많은 사람들이 실명할 위기에 처한다고 경고했다. 코빈 나이도 호주 브라이언홀든안과연구소(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교수팀은 현재 수준의 생활 패턴과 시력 ... ...
미토콘드리아 칼슘 조절 원리 찾았다
2015.10.08
NH2)와 카르복실기(COOH)라는 분자구조를 가진 아미노산이 사슬처럼 구성돼 있다.
연구진
은 이 부위를 삭제하거나 이 부위에 돌연변이를 도입하는 추가 실험을 통해 이 부위에 이상이 생기면 미토콘드리아의 칼슘 유입 활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엄 교수는 “미토콘드리아에 ... ...
‘빛의 타임머신’ 국내
연구진
이 만들었다
2015.10.07
흩어진 빛을 시간역행 거울을 이용해 원래 이미지로 되살려 냈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거울에 반사된 빛을 이용해 현재가 아닌 과거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시간 역행 거울’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장치는 이미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의 흔적을 찾아내는 것이 ... ...
암수 성비 불균형, 포유류는 암컷이 조류는 수컷이 많다
2015.10.07
다르게 나타난다. 타마스 스제켈리 영국 바스대 생물학부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진
은 동물마다 성비가 다른 이유는 성염색체에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7일 자에 발표했다. 성비는 동물의 짝을 찾는 방식이나 양육 방식 등 생태적 행동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 ...
300만 년 전 살았던 새 인류, ‘호모 날레디’
2015.10.07
새 인류 ‘호모 날레디’의 존재가 확인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미국 등 국제
연구진
은 지난달 호모 날레디의 존재를 공식 발표하며 호모 날레디는 고릴라만 한 뇌를 가지고 직립보행을 하며 약 300만 년 전에 살았던 인류인 것으로 추정했다. 최근 연구팀은 호모 날레디의 손과 발 뼈를 ... ...
와이퍼 필요없는 자동차 나올까
2015.10.06
제작한 원형형태의 구조체로부터 타원형태의 실리카 구조체의 모습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빛을 이용한 실리카(유리의 주성분) 초정밀 가공에 성공했다. 유리 입자를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단위로 자유롭게 가공하는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와이퍼가 필요없는 자동차나 얼음이 달라붙지 ... ...
골프, 운동강도 낮아도 효과는 충분
2015.10.06
운동강도는 낮아도 운동효과는 충분하다고 2011년 ‘한국체육과학회지’에 발표했다.
연구진
은 경력이 7년 이상인 골프선수 12명을 대상으로 9홀을 도는 동안 심박수와 산소섭취량을 측정했다. 걷는 그룹과 카트를 타고 이동하는 그룹을 나눠 조사한 결과, 걷는 그룹은 총 1889kcal를 소비했고, ... ...
진짜 같은 인공 세포핵 첫 개발
2015.10.05
투과도 가능하도록 만들어 대부분의 세포핵 기능을 흉내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연구진
은 인공 세포핵을 이용하면 선천적인 유전질환 치료법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유전질환을 치료하려면 정상적인 유전자를 대상 세포에 전달하는 ‘옮겨심기’ 방법이 주로 연구돼 왔다 ... ...
이전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