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브리핑] IBS-KIST 연구팀, 무독성 양자점 태양전지 개발 외
2015.10.23
생산 단가가 낮고 빛을 잘 흡수하지만 카드뮴이나 납 같은 중금속을 이용해 독성이 있다.
연구진
은 태양전지에 중금속 대신 구리-인듐-셀레늄 화합물인 나노입자를 넣어 독성을 없애는 데 성공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27일부터 6일간 국내 최대 SF 과학축제인 ‘SF2015’를 연다. 이번 축제 ... ...
적색거성 중심의 자기장은 지구의 1000만 배
2015.10.23
위키미디어 제공 별의 자기장은 별의 탄생과 죽음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별 내부의 가스 흐름과 자전속도가 바뀌고, 자전속도에 따라 별의 진화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최근 별 내부의 자기장에 관한 수수께끼가 풀려 주목을 받고 있다. 짐 풀러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 ...
의심 환자, 바이러스 감염 바로 확인하는 키트
2015.10.21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에이즈, 에볼라 등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키트를 개발했다. 크기가 신용카드의 4분의 1 정도로 작아 응급 현장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성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전공학부 교수(사진)팀은 별도의 시약이나 장비 ... ...
한국 독수리는 왜 썩은 고기를 먹나
2015.10.21
수리와 달리 한국 독수리는 동물의 사체나 썩은 고기를 먹는다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진
은 한국 독수리의 혈액 샘플을 이용해 유전체 정보를 해독하고 외국 독수리 16종의 유전체와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 독수리는 불과 1800만 년 전에 미국 흰머리 독수리에서 갈라져 나왔을 만큼 유전적으로 ... ...
주름 잡는 보톡스, 동맥경화에도 효과적
2015.10.21
미국심장협회 제공 피부의 주름을 없애거나 얼굴을 갸름하게 만들기 위해 주사하는 보톡스가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의 부작용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나단 스테인버그 미국 로체스터대 의학부 교수팀은 보톡스로 알려진 보톨리늄 톡신이 혈관우회로술을 받은 뒤 심 ... ...
일개미도 여왕개미 될 수 있다
2015.10.20
103호가 로열젤리를 먹고 여왕개미로 변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최근 영국
연구진
이 소설 속의 장면이 실제로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솔렌 파탈라노 영국 브리스톨대 베이브럼연구소 박사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특정 개미와 말벌은 여왕과 일꾼의 계급을 구분하는 유전체에 차이가 ... ...
‘新유전자 가위’로 고친 식물, GMO 논란 無
2015.10.20
과정을 거쳐 완전한 개체를 확보했다. - IBS 유전체교정연구단, 서울대 생명과학부 제공
연구진
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개조해 외부DNA 없이 스스로 작동하는 유전자가위를 식물세포 내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DNA 염기서열을 수정하는 데 성공했다. 담배에서는 식물 호르몬 합성에 관여하는 ... ...
차 없는 거리 운영했더니 초미세먼지 절반으로 뚝
2015.10.19
발령되며 하루 종일 뿌연 하늘을 마주하는 날이 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연구진
이 ‘차 없는 거리’를 운영하면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등의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발표해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공공보건대학 연구팀은 LA에서 열린 차 없는 ... ...
스마트폰으로 수소 누출 감지한다
2015.10.19
제공 국내
연구진
이 3초 만에 수소 누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 크기가 1mm도 되지 않아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에 탑재한다면 산업 현장에서 수소 누출로 인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건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사진)팀은 상온에서 수소를 ... ...
뇌처럼 작동하는 ‘삼차원’ 반도체칩 개발
2015.10.19
반도체칩이 개발됐지만 평면에 펼쳐져 있어 면적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
은 연산을 수행하는 반도체 회로 위에 신호의 경로를 조절하는 나노기계 회로를 올리는 방식으로 삼차원 인공지능 반도체칩을 개발했다. 이 칩은 기존 인공지능 반도체칩보다 면적을 5분의 1만 차지하고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