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과학자가 ‘희귀종 블랙홀’ 찾아냈다
2015.11.09
빛을 내는 퀘이사 현상에 주목한다. 퀘이샤 중앙에 반드시 블랙홀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
은 새로 발견한 블랙홀에 ‘IMS J2204+0111’이란 고유명칭을 부여했다. 새 블랙홀은 우주 생성 초기에 만들어 진 ‘원조’ 격 블랙홀이라는 점에서 우주의 생성 비밀을 푸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
‘고온초전도체’ 비밀 풀릴까… 美
연구진
, 새 전자현상 관측
2015.11.09
열었다. 포항공대(포스텍)은 미국 스탠퍼드대 SLAC 국립가속기 연구소 이준식 박사
연구진
이 고온초전도체 물질의 전자 정렬 현상을 처으으로 관측해 내는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이 박사팀은 미국 연구기관 소속이지만 포스텍 동문으로 구성돼 있다. 초전도 현상은 물질의 전기저항이 ... ...
환경파괴 없는 경제성장은 가능할까?
2015.11.08
이루기 위해선 기술적 해결과 사회 태도의 변화 역시 필요하다고 예상했다.
연구진
은 호주 내 거대 발전소의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대체에너지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수자원 사용량이 32~56% 증가할 ... ...
청양고추 매운 맛이 파킨슨병 치료제?
2015.11.08
결과 인간 파킨슨병 환자 역시 쥐와 같은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
은 이 점에 착안해 통증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성질이 있는 캡사이신을 쥐의 뇌에 매일 1회 씩 일주일간 주사하자 신경영양인자의 발현이 증가했다. 캡사이신 주사가 도파민 신경세포를 활성화해 ... ...
“타고난 리더 없다” 리더십은 훈련의 결과
2015.11.08
캘리포니아 주 밀스칼리지
연구진
은 사자나 늑대는 물론 침팬지 등 유인원, 그리고 원주민 까지 여러 중류의 동물을 분석한 결과 리더십이란 후천적 학습의 결과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 위키미디어 제공 강력한 카리스마, 냉철한 판단력, 훌륭한 인품을 갖춘 사람을 두고 ‘타고난 리더’라는 ... ...
미래의 아이언맨 ‘철갑’ 벗고 ‘섬유’ 입는다
2015.11.06
하버드대 연구팀이 최근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 ‘하버드 엑소슈트’. 딱딱한 금속 대신 실제 옷 같은 직물로 관절 로봇을 만들었다. 가볍고 튼튼하지만 착용자의 힘을 최대 20%까지 키워준다. - 미 하버드대 바이오디자인연구소 제공 영화 ‘아이언맨’에는 주인공을 슈퍼 영웅으로 만들어 주는 로 ... ...
“화성에서 산소 사라진 원인은 태양풍 활동 때문”
2015.11.06
스쿨버스만큼 길어지고, 무게는 약 2.4t으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비슷하다. NASA
연구진
이 메이븐에 달린 이온측정기가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태양 활동이 강력해질수록 화성 대기 상층부의 이온이 화성 대기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태양풍이 화성 대기에 ... ...
최적의 개미산 연료전지 개발
2015.11.05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공학부 교수(왼쪽)와 전명훈 연구원(오른쪽). - G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액체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찾아냈다. 이재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포름산(COOH)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수소이온농도지수(pH) 조건을 ... ...
소-사슴-캥거루, 지구온난화 예방에 가장 유용한 동물은?
2015.11.05
배출한다. 마르쿠스 클라우스 스위스 취리히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진
은 캥거루가 메탄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이유를 규명해 학술지 ‘실험생물학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4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반추동물의 소화 속도와 메탄가스 배출량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소화 ... ...
반(反)물질끼리 충돌하면 어떻게 되나
2015.11.05
달리 음극을 띤다. 12개국 57개 기관 300여명의 연구원이 참여한 ‘스타(STAR)’ 국제 공동
연구진
은 양성자의 반물질인 반양성자도 양성자처럼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처음 입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유인권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와 오근수 부산대 연구원, 노서영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