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전자 연구원 KAIST 다니더니…
2015.11.23
재학 중인 이병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책임연구원(38)은 KAIST 나노종합기술원
연구진
과 공동으로 ‘실리콘 기반 5단 수직 적층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현재 반도체는 더 작고 성능이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세계적으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지만 제작 공정의 ... ...
1㎜ 벌레에서 건강한 노년의 힌트 찾았다
2015.11.22
IBS)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작은 벌레의 노화에 따른 운동능력 저하 현상을 측정해 건강 수명을 예측하는 기법을 개발했다. 남홍길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장(사진) 팀은 콜린 머피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예쁜꼬마선충에서 건강 수명을 예측하는 지표를 발견했다고 20일 ... ...
장미 줄기로 전기회로 만들었다
2015.11.22
스웨덴
연구진
이 살아있는 장미 줄기로 전기회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 스웨덴 린셰핑(Linköping)대 제공 전기회로를 연결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식물이 광합성으로 만든 에너지를 다시 전기로 환원하는 일이 실제로 이뤄질 전망이다. 마그누스 베르그렌 스웨덴 린셰핑(Linköping)대 ... ...
효과 좋은 신경 치료용 줄기세포치료제 나온다
2015.11.22
결과 줄기세포의 신경세포 분화 효율이 더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연세대 제공
연구진
은 1차적으로 SKP단백질을 이용해 초기 분화를 활성화하고, 여기에 화합물을 이용해 신경세포 분화를 유도했다. 양 연구팀의 분화기술을 접목한 결과 보다 효율적인 분화 기술이 탄생했다. 김 교수는 ... ...
‘구글 글래스’ 끼고 심장수술 성공
2015.11.22
드라마 ‘닥터 이방인’에서 극중 의사 박훈(이종석)이 가상현실을 이용해 미리 수술을 시뮬레이션 하고 있다. - SBS 제공 드라마 ‘닥터 이방인’에서는 극중 의사 박훈(이종석)이 고난도 수술을 앞두고 가상현실(VR)을 이용해 3D로 구현된 환자의 수술 부위를 자유자재로 돌려가며 시뮬레이션 하 ... ...
2억5000만 년 뒤 모든 대륙, 하나로 모인다
2015.11.20
미국
연구진
은 2억5000만 년 뒤에는 지구 상의 모든 대륙이 하나로 모인다는 예측을 내놨다. - 크리스토퍼 스코테스 교수 제공 세계 지도를 보면 남아메리카 대륙의 오른편 해안선과 아프리카 대륙의 왼편 해안선 모양이 이상하리만치 맞아떨어진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호기심에서 시작해 ... ...
침팬지가 인간의 학습능력을 뛰어넘을 수 없는 이유
2015.11.19
위키미디어 제공 침팬지는 도구를 사용하거나 복잡한 목소리로 의사소통을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등 동물 중에 가장 영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침팬지가 아무리 똑똑해도 인간을 쫓아오긴 어렵다. 인간의 학습능력을 침팬지가 따라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최근 그 이유가 유전자의 제어 능 ... ...
나이 들면 생기는 당뇨, 비만 때문이 아니라오
2015.11.19
하지만 뚱뚱하지 않아도 나이가 들면서 당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최근 한미 공동
연구진
이 노화로 인한 당뇨의 원인을 밝혀냈다. 서재명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황성순 세종대 바이오융합공학과 교수가 참여한 미국 솔크연구소 연구팀은 생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나이가 ... ...
너구리는 단일종? 지역마다 다르다네!
2015.11.18
현저하게 작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두개골 길이는 일반적으로 몸 크기에 비례하는데,
연구진
은 상대적으로 먹이가 적은 섬에 사는 너구리들이 식량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몸집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너구리 두개골에서 샘플을 추출해 DNA 시퀀싱(염기서열 ... ...
이산화탄소, 빛으로 더 잘 분해한다
2015.11.18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자원으로 바꿀 때 필요한 새로운 광촉매 기술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손호진 고려대 소재화학과 교수팀은 효율이 높이면서 수명도 긴 광촉매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광촉매는 이산화탄소를 재사용이 가능한 연료나 화학원료로 활용도가 높은 ... ...
이전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