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동물의 의사소통을 엿보다
과학동아
l
2015.11.30
신호로 송수신 할 수 있다. - D.LIDGARD 제공 스웨덴 스톡홀름대 파비앙 로케 박사팀은 국제
연구진
이 10년 동안 바다표범 수백 마리에 원격송수신장치를 부착해서 얻은 남극해 일대의 깊이, 수온, 전기전도도 정보 16만5000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연평균 해빙 면적을 경도별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 ... ...
빨리 나는 새가 대장 된다
2015.11.29
연구팀은 비둘기가 무리 비행을 할 때 리더로 따르는 비둘기의 특징을 확인했다. - Zsuzsa Ákos 제공 교실에선 공부를 잘 하는 친구가, 체육관에선 운동을 잘 하는 친구가 리더 자리에 서는 경우가 많다. 비슷한 현상이 동물 세계에서도 발견됐다. 새들은 무리에서 가장 빨리 나는 새를 ‘리더’로 ... ...
좋은 전지 되려면…전기 잘 통하는 ‘촉매’ 써야
2015.11.26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전기가 잘 통하는 촉매를 쓰면 전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송현곤, 김건태, 곽상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는 차세대 전지의 성능이 촉매의 ... ...
폐암모니아에서 순도 100% 수소 뽑아낸다
2015.11.26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켐서스켐(ChemSusChem)’ 4일자에 실렸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연구진
이 국내에서 매년 2000만 t 이상 배출되는 폐암모니아를 이용해 순도100%의 수소를 뽑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 GIST ... ...
20배 빠른 5G 시대, 데이터 폭증 대비 완료
2015.11.26
배가량 늘어난다. 기존 전송장비나 회선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되는 셈이다. 국내
연구진
이 저렴한 비용으로 5G 통신에 대응할 수 있는 대용량 이동통신 기지국 구축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아날로그 신호를 광섬유로 전송해 데이터트래픽을 대폭 늘리고 기지국 ... ...
부당해도 억울해도 탈출하기 어려운 ‘지옥의 실험실’ 실체
과학동아
l
2015.11.26
옴부즈퍼슨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황은성 교수는 “옴부즈퍼슨은 대학의
연구진
실성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를 할 것”이라며 “수십 년 동안 지속되면 신뢰가 쌓이고 효과가 나올 것”이라고 했다. 도입 초기부터 큰 역할을 기대하지 말고 길게 보자는 말이다. 미국은 1960년대 후반부터 ... ...
‘국민 게놈 프로젝트’ 울산서 막 올라
2015.11.26
3년간 울산 시민 1만 명을 대상으로 유전자를 기증받아 게놈 해독을 진행한다. UNIST 등
연구진
은 향후 이 프로젝트를 한국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게놈 코리아 사업’(가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백 명의 게놈을 분석한 사업은 있었지만 대부분 연구 차원에서 진행됐다. ... ...
단백질 함량,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정확하게 측정
2015.11.25
이용해 황 원소의 질량을 측정하고 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세계에서 가장 정확하게 단백질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임용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무기분석표준센터 책임연구원 팀은 단백질 안에 포함된 황(S)의 함량을 통해 단백질의 함량을 측정하는 ... ...
전기 만드는 기특한 바이러스를 아시나요
2015.11.25
수직으로 쌓자 전기 생산량이 최대 6배까지 증가했다. - 부산대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압력을 가하면 전기를 생산하는 바이러스를 이용해 발전소자의 전기 생산 효율을 최대 6배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오진우 부산대 나노에너지공학과 교수와 황윤회 나노융합기술학과 교수팀은 전기를 만드는 ... ...
거대 블랙홀 기원 밝혀질까
2015.11.25
제공 블랙홀의 형성 과정에 관한 비밀을 풀어 줄 새로운 블랙홀이 국내
연구진
에 의해 발견됐다. 김민진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진화그룹 선임연구원이 이끈 국제 공동 연구팀은 지구에서 처녀자리 방향으로 3억 광년 떨어져 있는 렌즈형 외부 은하 ‘NGC 5252’의 외곽에서 새로운 블랙홀(CXO J133815.6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