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런 초신성 폭발 장면 본 적 있나요
2015.12.07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초신성(超新星)’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최근 국내
연구진
이 초신성 폭발의 새로운 원리를 관측을 통해 입증했다. 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백색왜성이 태양과 같은 보통 크기의 별과 상호작용을 해도 제1a형 초신성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는 관측 ... ...
지금보다 수천 배 강력한 태양 흑점 폭발 일어날 수 있다
2015.12.07
일반적인 태양 플레어(왼쪽)과 비교한 슈퍼플레어(오른쪽) 발생 예상도 - 영국 워릭대 제공 기존 태양 흑점 폭발(플레어)보다 수천 배 강력한 ‘슈퍼플레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태양 흑점 주변에서 일어나는 플레어가 수소폭탄 수천만 개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하는 ... ...
힘 좋고 오래가는 수소연료전지 나온다
2015.12.07
나노입자연구단 그룹리더(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수소연료전지의 성능을 10배 이상 높이고 수명까지 긴 촉매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의 현택환 단장과 성영은 그룹리더(이상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팀은 ... ...
‘애인있어요’ 지진희 애절한 눈빛, 여심 돌릴 땐 무용지물?
2015.12.06
인기를 끌고 있는 주말 인기드라마 '애인있어요' - SBS 제공 “어떻게 그토록 날 사랑할 수 있는 거예요?” 5일 방영된 SBS 드라마 ‘애인있어요’ 속 한 장면. 도해강(김현주 분)이 묻자 최진언(지진희 분)은 도해강을 그윽하게 바라본다. 최진언의 눈빛 속에는 도해강에 대한 사랑과 애틋함, 미안 ... ...
비만 아빠에게서 비만유전자 가진 자녀 태어난다
2015.12.06
iStockphoto 제공 자녀계획이 있는 '뚱뚱한' 예비 아빠라면 2세를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로메인 바레스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팀은 비만 남성과 마른 남성의 정자 속 유전자 가운데 식욕 조절과 관련된 유전자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호리 ... ...
구부러지는 액션캠…국내 첫 파력발전기…착즙량 늘린 녹즙기
2015.12.04
숨은 공신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운영하는 슈퍼컴퓨터 4호기다. 바우드
연구진
은 잘 휘어지고 구부러지는 다리를 설계하면서 애를 먹었다. 시제품을 만들었지만 유연한 대신 생각만큼 튼튼하지 않아 몇 번 사용하면 다리가 약해졌다. 하지만 매번 시제품을 만들어 테스트하기란 ... ...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 대상에 한정현 군
2015.12.04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한국극지
연구진
흥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하는 ‘제6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 수상자가 발표됐다. 북극 연구 체험 기회가 주어지는 대상(해양수산부 장관상)은 한정현 군(경기과학고 2)에게 돌아갔다. ‘뜨거운 얼음, 북극의 열을 내리려면’이란 제목으로 ... ...
지구 밖에서 들려온 정체 불명의 ‘굉음’ 비밀 풀릴까
2015.12.03
관측됐지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콰줄루-나탈대
연구진
이 개발한 데이터마이닝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해 기존에 관측된 전파 데이터를 대량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전파 데이터 중에서 이미 알려진 FRB의 특성과 일치하는 특정 신호를 찾아내 이 FRB가 어디서 ... ...
스타워즈 속 ‘3D 홀로그램’이 눈앞에 턱!
2015.12.02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시연하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국내
연구진
이 SF영화에 단골로 등장하는 3D 홀로그램 기술을 실제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360도 모든 방향에서 홀로그램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 ...
플라스틱 첨가물 ‘HBCD’, 난연제로는 좋지만…
2015.12.02
제공 플라스틱 속 유해물질의 양을 정확히 알 수 있는 기준 물질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백송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기분석표준센터 선임연구원은 플라스틱 첨가물질인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HBCD)’의 양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표준물질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