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열대림에서 영장류 사라진다면…
2015.12.21
Pedro Jordano 제공 열대림은 세계에서 나무가 가장 밀집한 지역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기후변화를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열대림의 대형 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놓이면서 기후변화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카를로스 피어스 영국 이스터 앵글리아대 교 ... ...
탈선사고 원천봉쇄…달리는 열차바퀴 실시간 점검한다
2015.12.21
이용하기 때문에 기관실 열차통합센터까지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연구진
은 이 기술을 국내 모든 열차에 적용할 경우 안전성 향상은 물론 매년 들어가는 6000억 원의 열차유지보수비를 10% 이상 줄일 수 있을 걸로 기대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유럽 등 선진국에서도 유사한 ... ...
초등학교 입학 때, 우울증으로 뇌에 생긴 ‘흉터’ 평생 간다
2015.12.20
연구를 주도한 조안 루비 박사(오른쪽)가 연구원과 함께 미취학 아동들의 뇌 발달 상태를 살피고 있다. - 로버트 보스턴 제공 초등학교 입학을 전후한 어린이가 겪는 우울증이 뇌 발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안 루비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 박사팀은 어릴 적 우울증 진단 ... ...
백두산 호령하던 그때처럼… ‘大虎’ 복원 프로젝트
2015.12.20
세대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하버드대에 있는 한국호랑이 가죽을 발견한 뒤 한국
연구진
이 연구할 수 있도록 국제협력을 도운 조장혁 변호사는 “그동안 목포 유달초등학교에 있는 호랑이 박제가 유일한 남한 호랑이 표본으로 알려졌지만 박제가 탈색돼 호랑이의 원래 모습을 확인하기 ... ...
연어의 ‘사춘기’를 조절하는 비법
2015.12.20
체지방 축적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2차 성장의 시기를 결정하는 데도 영향을 미친다.
연구진
은 이 유전자를 조절한 암컷은 바다에 오래 머무르면서 5~15kg로 크게 성장한 뒤 생식력을 얻게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유전자를 조절한 수컷은 1~3kg로 작게 자란 뒤 일찍 생식력을 얻게 했다. 프리머 ... ...
달(月)이 숨을 쉬나…대기가 줄었다 늘었다 하네
2015.12.20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달 대기관측선 ‘래디(LADEE)’. - NASA 제공 달에는 대기가 거의 없다. 과학자들은 중력이 약해 성간물질 입자가 유입되더라도 붙잡지 못하고, 달 표면에서 만들어지는 소량의 가스도 태양풍을 만나면 금세 날아가버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최근 이 생각에 수정을 가할만 한 ... ...
별에서 깨어난 포스, 우주 가르는 광선검 나타났다
2015.12.18
어린 별의 양극에서 강력한 에너지로 분출돼 나오는 빛의 모습이 스타워즈 다스몰의 광선검을 닮았다. - NASA, ESA 제공 영화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가 17일 국내에서 개봉했다. 그런데 스타워즈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광선검이 최근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데보라 패드겟 미국항공우주국(NASA)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성과는…‘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2015.12.18
발견된 새 인류 화석인 ‘호모 날레디(Homo Naledi)’도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국제 공동
연구진
은 1550여 개의 뼛조각을 통해 호모 날레디가 약 300만 년 전에 살았던 인류로 고릴라만 한 뇌를 가졌고 직립 보행을 했으며 어설프게나마 도구를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했다. 총 1만 명 이상의 생명을 ... ...
[사설]서울의 공기오염이 세계 5위라는 충격적 사실
동아일보
l
2015.12.17
한국의 공기오염이 중국에 버금가는 세계 최악의 수준으로 드러난 것은 충격적이다.
연구진
은 2005∼2014년 195개 도시의 대기 질을 추적해 공기오염이 심한 곳을 빨간색, 대기가 깨끗한 지역을 파란색으로 표시했는데 아시아에서 중국과 한반도 남쪽만 붉은색이다. 위성 분석 결과여서 정확도는 ... ...
60대 이상 실명원인 1위 치료법 개발
2015.12.16
이태걸 한국표준연구원 책임연구원(왼쪽)과 김정훈 서울대 의대 교수. - 한국표준연구원 제공 60대 이상 성인의 실명 원인 1위이자 40대 100명 ... 연구 결과는 지난해 6월호 ‘나노 리서치(Nano Research)’ 표지 논문으로 실렸으며,
연구진
은 최근 관련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 등록을 마쳤다.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