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분자로 ‘자기 나침반’ 개발
2015.12.02
강한 자기장에도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비자성(non-magnetic) 물질로 취급됐다.
연구진
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 펩티드가 자기장에 즉시 반응하도록 만들었다. 연구팀은 먼저 펩티드를 나선 형태로 차곡차곡 접어 결합한 ‘폴덱쳐’라는 구조로 만들어 자기장 반응성을 높였다. 또 이렇게 만든 ... ...
이론에서나 가능하다던 ‘수소 도핑’ 첫 성공
2015.12.01
기법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가볍고 확산이 잘 되는 수소를 이용하는 경우는 없었다.
연구진
은 고성능 전자현미경과 분광기를 이용해 살펴본 결과 산화물 표면에 붙은 물 분자가 수소 분자로 바뀌면서 박막 내 원자들 사이의 틈이나 산소 원자가 빠져나간 자리에서 기존 원소들과 결합해 전자의 ... ...
뚝딱뚝딱 종이 접어 살아있는 토끼에 이식
2015.12.01
교수, 임성갑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왼쪽부터 순서대로).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
이 개구리, 토끼 등 온갖 생물의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종이접기 기법으로 살아있는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황석연 서울대 화학생물공학 교수팀은 KAIST, 서울대병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이접기를 ... ...
목성에 폭풍이 350년 넘게 지속된 이유
2015.12.01
카시니가 1665년 처음 발견한 이래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캐나다
연구진
이 이 폭풍의 모습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모리츠 하임펠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팀은 목성의 대류권과 성층권 사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제트기류와 폭풍을 3D 시뮬레이션 모델로 구현했다고 ... ...
마구 접고, 마구 구겨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12.01
KIST 연구원(왼쪽)과 김대은 연세대 교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접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구 구겨도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는 고효율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고민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팀은 김대은 연세대 기계공학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형상 기억 ... ...
마이크로소프트(MS) ‘엑박’과 X선 촬영이 무슨 관계?
2015.12.01
- 위키미디어 제공 X선 촬영을 할 때 우리 몸은 일정량의 방사선에 노출된다. 미국
연구진
이 게임용 동작 인식 컨트롤러를 이용해 노출되는 방사선량을 최소화하는 데 성공했다. 스티븐 돈 미국 워싱턴대 교수팀은 마이크로소프트(MS) 게임기인 엑스박스(X-box)의 동작인식 장치 ‘키넥트(Kinect ... ...
대장암 진단하면서 치료, 그래핀으로?
2015.11.30
부착된 내시경(왼쪽)과 나노치료입자(오른쪽 아래).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암세포만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내시경 시스템을 개발했다. 진단과 동시에 치료도 진행할 수 있어 수술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대형 기초과학연구원(IBS) ... ...
전기 직접 사고파는 ‘벼룩시장’ 생겼다
2015.11.30
자신이 사용하고 남은 에너지를 시장에 내다팔 수 있는 에너지 거래 시스템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이로 인해 가까운 미래엔 전기를 사고 팔 수 있는 ‘벼룩시장’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이일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에너지IT기술연구실장은 소비자 사이에 전기에너지를 연결시켜 ... ...
주변시의 비밀, 뇌에 있었네
2015.11.30
시세포가 적게 분포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었다. 최근 영국
연구진
은 이런 현상이 눈 뿐만 아니라 뇌의 한계 때문에 발생한다라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윌리엄 해리슨 영국 케임브리지대 심리학부 연구원 팀은 주변시에 있는 사물을 인지하기 어려운 이유가 눈 외에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젠투펭귄과 턱끈펭귄이 알려주는 지구온난화
과학동아
l
2015.11.30
그야말로 ‘빅데이터’다. 한 마리가 하루 동안 기록한 영상만 해도 10시간이나 된다.
연구진
은 올해 초 한국에 돌아온 뒤 기록된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현재까지 논문 두 편을 발표했다. 분석 결과 턱끈펭귄은 세종기지에서 30km 떨어진 바다까지 나가는 반면 젠투펭귄은 활동 반경이 20km 정도로 ... ...
이전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