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의 보석’ 흑진주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12.16
가운데서도 가장 귀하고 값비싼 흑진주는 최고의 바다 보석으로 꼽힌다. 최근 국내
연구진
이 질 좋은 흑진주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최영웅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생태기반연구센터 선임연구원팀은 인공수정을 이용한 흑진주조개 양식 기술을 개발하고 ... ...
물 속에서 햇빛 받아 수소 만드는 2세대 ‘인공 나뭇잎’ 나왔다
2015.12.15
높인 인공나뭇잎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인공나뭇잎은 2011년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
이 개발한 1세대 인공나뭇잎보다 수소 전환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개선됐다. 인공나뭇잎은 태양빛을 흡수하는 반도체 광촉매 물질을 물과 접촉시켜 수소를 생산한다. 식물과 달리 온도나 ... ...
OLED-그래핀 만나니 TV가 더 선명해지네
2015.12.15
“넓게 만드는 기술까지 개발한다면 3년 후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
은 이 기술로 국제 특허 6건을 출원한 상태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2일 자에 실렸다. ... ...
바다사자가 기억상실 ‘도해강’ 되는 이유
2015.12.15
도모산에 중독된 바다사자 브래니 맥크리스티. 해양포유류센터로 옮겨 와 치료를 받고 있다. - 해양포유류센터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 주 연안에는 전에 갔던 장소를 기억하지 못하는 바다사자가 자주 발견된다. 드라마에서나 볼 법한 ‘기억상실’ 증상을 나타내는 바다사자의 수는 매년 수 ... ...
에이즈와 에볼라, 현장에서 바로 진단하는 키트 개발
2015.12.14
에볼라 감염에 양성 반응을 보인 혈액 샘플에서 확인된 빛의 복굴절 패턴. 진단 키트에 혈액을 떨어뜨리고 빛을 쪼였을 때 빛이 특정한 패턴을 그리며 통과해 나올 경우 양성 반응으로 간주한다. - ETH Zurich, Jijo Vallooran 제공 에볼라, 에이즈 등 치명적인 감염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감염 ... ...
g당 200원, 초저가 촉매 나온다
2015.12.14
촉매를 대신할 초저가 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g당 200~300원 수준의 초저가 연료전지용 촉매를 개발했다. 기존에 사용되던 값비싼 귀금속 촉매를 대체할 수 있어 연료전지 분야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김건태·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 ... ...
‘털복숭이’를 ‘민둥 몸’으로 바꾸는 이것
2015.12.13
분열할 때 비대칭성을 결정하는요인을 밝혀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진
에 따르면 세포가 분열할 때 특정 단백질(klp10A, Patronin)이 방추사가 정확한 대칭을 잡을 수 있도록 만든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는 알파벳과 한자 등 세계의 문자를 새겨놓은 ‘판’의 모습이 ... ...
[우먼 동아일보 & 여성동아] 캘리포니아 호두 농장을 가다! FARM TO TABLE
동아닷컴
l
2015.12.11
지방산과 같은 신경 보호 물질이 뇌 기능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연구진
은 식단에 호두를 포함할 경우 치매와 같은 뇌 기능과 관련된 질환의 발병 시점을 늦춰 ‘건강 수명’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호두에 다량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은 당뇨 환자들의 체중 관리 및 ... ...
1m 거리 무선충전 기술 국내서 첫 개발
2015.12.11
가능한 자기공명방식이 미래형 무선 충전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ETRI
연구진
도 자기공명방식을 이용했다. 구리선이 둘둘 말린 두 개의 코일을 하나는 전원에, 하나는 전자기기에 연결해 같은 주파수로 맞추면 ‘공명’이 발생해 전류가 흐른다. 그간 세계적으로 자기공명방식의 무선 ... ...
작은 칩으로 세포 분화 조절했더니
2015.12.10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손가락만한 크기의 칩으로 세포 분화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전누리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은 스위스 바젤대, 아일랜드국립대와 공동으로 바이오칩으로 세포 분화와 분열을 조절하는 데 ...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