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한 사람당 20kg가 넘는 큰 짐을 메고 돌아온다.4월부터 채집해온 식물을 건조하기
시작
한다. 식물체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기를 빼 부피와 무게를 줄이는 것이다. 말린 식물은 곱게 갈아 가루로 만든다. 가루에 알코올을 붓고 열을 가해 알코올 성분을 날리면 화학물질만 진액 형태로 남는다. 채집한 ... ...
발바닥이 인체의 축소판이라고?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연 워크숍에 참가했습니다. 전문 업체에서 강사가 나와 진행했습니다. 워크숍을
시작
하기에 앞서 간단히 박수를 치자더군요. 네, 뭐 나쁠 거 없죠. 그런데 따라 하다 보니 그냥 박수가 아니었습니다. 손의 특정 부위가 서로 부딪치도록 박수를 치라는 겁니다. 무슨 소리인가 싶었는데, 손이 인체의 ... ...
① 조규진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문제만 풀어서 되는 게 아니에요. 논리가 굉장히 중요해요. 논리성은 사실 글쓰기에서
시작
되거든요. 연구를 할 때는 문제를 스스로 만들어야 하죠. 그게 어려워요. 좋은 문제를 잘 만들려면 논리적으로 말이 되게 해야 합니다. 논문도 써야 하고요.슬럼프도 국어 때문에 겪었죠. 고등학교 때 국어 ... ...
성층권에 다녀왔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걸 깨달았을 때 극복할 수 있었어요.” 1차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2차 실험 준비를
시작
했다.2차 실험은 군산보다 북쪽에 위치한 태안에서 하기로 결정했다. 헬륨을 채운 풍선을 다시 한 번 날렸다. 충남대로 이동해 GPS 신호를 기다렸다. 4시간쯤 뒤, 드디어 GPS신호가 잡혔다. 이번엔 강원도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있으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해서 뜨는 힘을 못 받거든요. 그래서 영하 35도에서나 얼기
시작
하는 글리콜 용액과 뜨거운 물을 섞어 구석구석 닦아 주지요.비행기가 떠오르다 활주로에서 조금만 미끄러져도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요. 그래서 공군부대에서는 눈 치우기를 ‘제설작전’으로 부르며 ... ...
2013년 ‘지구사랑 탐사대’로 다시 만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올해는 탐사를
시작
한 시기가 다소 늦어서 아쉬운 점이 많았어요. 내년에는 훨씬 일찍
시작
해서 더욱 흥미진진한 탐사가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랍니다!귀뚜라미 탐사대의 활동은 제인 구달 박사도 감동시켰어요. 제인 구달 박사와 함께한 행사에서 탐사대원들은 그동안 탐사했던 사진을 붙여 ... ...
제인 구달 박사가 전하는 지구사랑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모여서 경험을 공유하고 환경 보호에 대한 의견을 발표하는 자리랍니다. 1995년 영국에서
시작
해 2011년까지 모두 9차 회의가 열렸어요. 작년에는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 대표 28명이 참가했답니다.2011년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열린 툰자 회의에 우리나라 대표로 참여했어요. 회의 주제는‘ ... ...
[퍼즐탐정 썰렁홈즈]못 말리는 음악가 ‘리듬박 자무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관객이 없어서는 안 되겠지?”자무쉬는 적어도 관객이 50명은 넘게 들어와야 연주를
시작
할 수 있다고 말했다.“50명이 넘었는지 어떻게 알아요?”“사람들이 자리에 앉으면 좌석배치도에 불이 들어오지. 앞으로 몇 사람이 더 들어와야 할까?”눈물의 오케스트라 연주회“앙코르~, 앙코르~ ... ...
남극에도 꽃이 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남극개미자리는 쌍떡잎식물이며 석죽과에 속한답니다.남극개미자리는 물이 얼기
시작
하는 온도인 0℃에서도 광합성을 활발히 할 수 있지요. 과학자들은 두 식물이 어떻게 혹독한 환경 속을이기고 살 수 있는지, 그 비결을 계속 연구하고 있답니다. 또 남극의 기후를 알아보기 위해서도 두 식물을 ... ...
포근 따끈 ~손뜨개 세상으로 초대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있지 않을까?손뜨개로 목도리를 만드는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지. 손뜨개를
시작
하고 마친다는 표시인 ‘코뜨기’와 손뜨개를 길게 이어 나가는 ‘겉뜨기’야. 방법은 아래에 있어. 코뜨기 과정➊ 실을 두 겹으로 해서 왼손 엄지와 검지를 집어넣는다.➋ 왼손을 위로 세우고 실을 나머지 ...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