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대해 느껴지는 감정이 그리 흡족하지만은 않다. 왠지 이공계를 기피하는 작금의 사회
분
위기가 깊은 역사적 자취와 함께 머리 속에 맴도는 까닭이다.고대 중국 수학의 진가를 보여준 유휘(劉徽) 유휘는 3세기에 활약한 중국의 수학자며, ‘구장산술’ 외에 ‘해도산경’(海島算經)을 저술했다는 점 ... ...
사람의 혀를 대신할 전자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조합해 판별한다. 전자혀를 개발한 맥사이언스의 김종학 이사는“위스키 20종에 대한
분
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위 여부를 2
분
이내에 판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렌즈를
분
리하고 여기에 T링을 끼우는 일은 어렵지 않다.달을 찍을 때 가장 어려운 부
분
이 바로 노출이다. 적정하게 노출되지 않으면 달의 세부가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다. 초승달에서 보름달까지 점차 밝아지기 때문에 달의 모습에 따라 적정 노출이 달라진다. 즉 초승달일수록 노출을 많이 주고,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만들어져 있다.속도는 자전거 이용 기술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페달에 연결된 부
분
인 크랭크의 길이와 페달을 돌리는 회수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현대의 일반적인 크랭크 길이, 즉 1백70mm(산악자전거의 경우 1백75mm)가 모든 자전거와 선수에게 적정하지 않으리라는 점이다. 다리가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자녀들이 무병장수하기를 기원하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사람들은 태반 속에 무한한 자양
분
과 치유의 효력이 있다고 믿었다. 한편 외국에도 태반과 관련된 풍속이 있다. 케냐의 가쁘란 종족은 태반을 난로가 놓인 바닥에 묻는데, 흥미롭게도 이들의 언어로 산파와 태반을 가리키는 단어는 같다. ... ...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단두대에서 사라진 것이 오히려 다행이었을 것”이라는 심한 말을 남겼다고 한다.
분
명 럼포드보다 20년이나 더 오래 살았던 마담 라부아지에는 그 말에 응대했을 것이나 그녀의 말은 없다. 아니 그녀가 했던 말이 기록에 남겨지지 않았다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라부아지에와 마담 라부아지에 ... ...
반물질을 로켓 연료로 사용하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도 문제다. 현재 기술로는 8천만달러를 들여 1년에 1억
분
의 1g 정도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반물질 수백g이 드는 가까운 별까지의 여행도 아직은 시기상조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SF소설에나 나오는 반물질 추진 로켓이 현실화되는데 앞으로 50-1백년 정도 걸린다고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조종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게 되면 결국 이 기술은 MEMS에 응용될 것이다.하지만
분
명히 염두에 둬야 할 점은 단지 소형화가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무조건 작게 만든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정보통신기기에서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나 모니터와 같은 출력장치가 사람 눈에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여기서는 대표적인 극저온 연구 몇가지에 대해서만 설명한다.극저온의 대표적인 연구
분
야는 헬륨이다. 모든 기체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기체 → 액체 → 고체의 과정을 거친다. 즉 온도를 계속 내리면 언젠가는 고체가 된다.그런데 헬륨은 절대영도에서도 액체상태를 유지한다. 이같은 특이한 ... ...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하지만 나는 어쩔 수 없이 내 능력의 3
분
의 1은 공부하고, 3
분
의 1은 제자들 가르치고, 3
분
의 1은 국가에서 부르는 일을 할 수밖에 없었어요”라며 학문의 토대를 갖춰야 했던 본인의 역할 때문에 연구에만 전념할 수 없었음을 아쉬움으로 남겼다.이에 대해 제자인 김영민 교수(부산대 물리교육과)는 ... ...
이전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