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일 자동번역기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정보처리 전문업체인 (주)유니온시스템이 일본 '브라이스인터내셔날'사와 공동으로 한일 자동번역시스템인 '마이크로팩JK'라는 소프트웨어를 ... 바 있다.컴퓨터의 외국어번역수준은 사람이 번역해 놓은 것에 비교할 수는 없다. 사람이
조금
손을보면 85%정도의 정확도를 가질수 있다는 것 ...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부대를 자주 찾아가는 꿈을 요즈음도 가끔씩 꾸곤 하는데 꿈의 배경이나 상황은
조금
씩 변하긴 하지만 꿈의 내용은 천편일률적으로 "내가 아직도 제대를 하지 않았던가" 또는 "나는 만기근무를 다하였는데도 왜 제대를 시켜주지 않느냐"는 불평이었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내가 군대에서 가장 ... ...
공학도는 현장을 익혀야 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맡아 달라는 요청이 있었지만 거절했지요. 초빙교수라 그런지 대우가 예외적이라
조금
마음에 걸립니다."한국생활이 '재미없다'고 말하는 장박사의 표정에서 고독하고 쓸쓸한 생활을 읽을 수 있었다. 미국에 얼마전까지 보건부에 근무하던 부인과 학교에 다니는 두 딸을 남겨둔 채 칠순이 넘은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엔트로피가 올라가는데 이를 다시 낮추기 위해서 노력하게 된다. 고엔트로피 상태를
조금
이라도 피해보려고 궁금하면 신문을 사보고 사람들의 소문을 들으려 하고 정보매체에 매달리는 엔트로피전의 시대 속에서 우리는 살고 있는 것이다.엔트로피 저하의 노력이 결과를 가져와서 사람들이 ... ...
서울의 교통체계 8각형 교차로, 도시교통의 장애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아예 그만두고 마는 경향이 있다.교차로를 예를 들어보면 설계하는 사람이 교통을
조금
이라도 알았으면 지금 모양을 해놓지는 않했을 것이다. 설계자는 시(市) 도로과이고 차선 및 교통신호를 운영하는 곳은 경찰국이다. 그런데 이 두부서의 협조형태는 이제 겨우 시작단계에 있는듯하다. 지금까지 ... ...
경영정보시스템(MIS) 자료정리에서 정보분석으로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완벽하고 하자가 없는 정보시스템을 구성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조금
이라도 나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구성방법, 정보에 대한 가치부여방법, 그리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가 결정하는 것이 선결문제인 것이다.조직상의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급변하는 ... ...
달은 45억년전 대충돌로 생겼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최대의 수퍼컴퓨터를 이용, 대충돌설의 모의실험(simulation)을 했다.연구팀에 따라 모델이
조금
씩 다르고 사용하는 물질에 차이가 있었으나 결과는 거의 같았다. 컴퓨터 실험은 불과 지난 몇개월사이에 진행이 된것이다.'로스 알라모스'의 천체, 물리학자 '윌리벤즈'는 "만약 거대한 수퍼 컴퓨터가 ... ...
기술교류는 첨단산업의 디딤돌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컴퓨터 수출10만대」는 기술에서 인정을 받았다는 의미입니다"첨단은 작은 것이다. 모든 결과는 몇미터에서 결정나는 것이 아니다. 몇미크론에서 판 ... 대해 '불확실한 미래의 기술사회를 빨리 정확하게 감을 잡는다는 측면에서 아무래도
조금
은 낫지 않겠느냐'고 조심스럽게 표현한다 ... ...
퍼스널컴퓨터의 어제와 오늘 오락에서 인공지능까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필요한 컴퓨터의 기능이 무엇인가를 발견하고 각자의 업무에 응용할 기회를 찾아
조금
씩 노력해나가는 것이 미래의 충격에 대비하는 현명한 자세라 생각한다. 다시말하면 다가올 정보화사회는 특수한 사람들(컴퓨터 전문가)을 위한 사회가 아니고 모든 인간을 위한 사회이기 때문에 컴퓨터를 ... ...
살아 움직이는 지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바뀐것이다. 이렇게 바뀌기까지는 오랜 세월이 걸렸다. 논쟁의 발달은 19세기부터
조금
씩 축적되어 왔다. 고생물학자가 이첩기의 파충류'메소자우루스'를 남대서양의 양쪽연안에서 발견했다. 지질학자들은 메소자우루스가 대서양을 헤엄처 건넌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과거의 어느시기에 두 대륙이 ... ...
이전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