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빵 덕후'라면 놓치지 말자, 밀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2018.11.17
- shotgun sequencing)’ 기술이 쓰였다. IWGSC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고 있는 서용원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덕분에 밀의 중요 특징을 결정짓는 유전자들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유전자들끼리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발현되는지 밝힐 수 있었다”며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는 기간이 대폭 단축될 ... ...
- “불변의 단위 시대...생명공학, 초고속통신 혁신 가능할 것”과학동아 l2018.11.16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은 “오늘 단위 4가지를 재정의함으로써 나노과학과 생명공학, 초고속통신 등 분야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과학기술이 발전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베르사유=이정아 동아사이언스 ... ...
- 소니 아이보 울릴 로봇 고양이 한 마리 키워볼까?2018.11.16
- 350g입니다. 가벼운 몸체에서 모든 기능 모듈을 테스트했습니다. 또 고양이와 비슷한 생체공학적인 골격 디자인을 적용해 3D 퍼즐처럼 조립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레이저로 절단한 나무 조각은 나사 없이 연결할 수 있습니다. 2개의 3.7V 리튬 이온 배터리로 작동합니다. 3D 입체 퍼즐처럼 구성된 ... ...
- 韓·스위스, 건축 심리 교류 추진된다동아사이언스 l2018.11.16
- 제공 내년부터 스위스와 공동으로 건축과 토목, 컴퓨터공학, 사회학, 심리학 분야 대학원생이 서로 방문 연구를 하는 교류 프로그램이 추진된다. 디지털헬스, 신소재, 분자물리 분야의 공동연구도 새롭게 이뤄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위스 연방교육연구혁신청(SERI)과 16일 오전 ... ...
- 얼음으로 도로 결빙 막는다?과학동아 l2018.11.16
- 보레이코 미국 버지니아공대 생물의공학및역학과 교수팀은 얼음으로 겨울철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응용재료및인터페이스’ 9월 17일자에 발표했다. 게티이미지 제공 연구팀은 우선 알루미늄판에 1mm 간격으로 10μm 너비의 얇은 홈을 팠다. ... ...
- 뇌파 생성 신경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2018.11.15
-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팀이 뇌파의 생성 및 변조를 담당하는 핵심 신경회로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뇌의 근본적인 동작원리를 밝히는데 도움이 돼 향후 자폐나 정신질환, 알츠하이머 등 여러 뇌질환 ... ...
- 과학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에 악셀 팀머만 단장·박남규 교수·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동아사이언스 l2018.11.15
- (왼쪽부터)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장, 박남규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고정환 본부장). 과학기자협회 제공. 한국과학기자협회는 14일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와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장 ... ...
- 대한산업공학회 석사논문경진대회 대상에 서울대 이연수 씨동아사이언스 l2018.11.14
- 대학원생 이연수 씨가 대상을 차지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대회는 대한산업공학회가 대학원 연구활동 활성화와 연구 질, 권위 향상 등을 위해 추계학술대회 일환으로 매년 진행하고 있다. 이연수 씨는 올해 2월 석사학위를 취득해 현재 박사과정 재학 중이다. 이연수 씨는 제품 생산 공정에서 쓸 ...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재가동 승인동아사이언스 l2018.11.14
- 개발, 핵연료 시험을 비롯해 중성자 빔을 이용한 기초연구와 환경 의학, 농업,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돼 왔다. 그러나 지난해 12월과 올해 7월 두 차례에 걸친 이상 정지로 현재는 가동이 멈춘 상태였다. 원안위는 자동정지 사고가 발생한 7월 30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현장조사단을 ... ...
- 카멜레온처럼 색깔 변하는 소재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8.11.14
- 외장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정열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전기 자극을 통해 능동적으로 실시간 색이 변하는 ‘고체 유연 소재’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카멜레온은 피부색을 바꾸기 위해, 피부 속 광결정 구조의 간격을 조절한다. 광결정은 특정 ... ...
이전5835845855865875885895905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