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구원할 590마리 원숭이들이 사는 곳, 영장류자원지원센터 가보니2018.11.05
-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읍 영장류자원지원센터 전경. - 사진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4년에 걸쳐 건립한 세계적 수준의 영장류 지원센터 생명연은 급증하는 영장류 수요에 대비해 2014년부터 영장류자원지원센터를 구축해왔다. 7만 3424㎡의 부지를 확보하고 이곳에 10동의 사육동과 ... ...
- [과학게시판] 제6기 산기협 꿈나무 장학증서 수여식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05
-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기협)는 6일 서울 양재동 산기협 회관에서 '제6기 산기협 꿈나무 장학증서 수여식'을 열고, 올해 선발한 장학생 50 ...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의 접촉 압력센서 이용한 미칩습 동맥압 측정, 김수환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의 고정밀 센서용 반도체 기술 등을 발표했다. ... ...
- 차세대 전자소자 ‘유기반도체’ 실용화 길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11.05
- 분자 구조가 불규칙한 유기반도체의 전하이동도가 더 뛰어나다는 사실은 기존 반도체 공학의 통념을 뒤집는 결과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유기반도체의 실용화에 한걸음 더 다가갈 열쇠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양창덕 교수는 “이번에 합성한 고분자의 전하이동도는 현재까지 보고된 ... ...
- “화성 흙 지구로 보내라”… 2년후 발사할 탐사로봇에 특명동아사이언스 l2018.11.05
- 생명체 존재를 연구하기 위한 단서 중 하나로 꼽힌다. 이태식 한양대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수는 “미래에 화성 유인 탐사와 거주지 건설을 하려면 화성 표면과 궤도 위에서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얻어야 한다”며 “각국이 무인 탐사 로버로 지형, 지질 정보를 얻는 이유”라고 말했다.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2차 발사도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11.04
- 2호’가 지난달 28일 1차 발사에 이어 2차 발사에도 성공했다. 권세진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은 4일 오전 10시 55분 전북 새만금 간척지에서 우리새-2호를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우리새-2호는 5초간 엔진 연소 후 약 1분가량 하늘을 난 뒤 낙하산을 통해 지상 회수됐다. 권 교수는 ... ...
- 메타물질로 빛 주파수 바꾼다동아사이언스 l2018.11.04
- 성공했다. 차세대 광학 소자 개발로 이어질 원천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기계공학과 민범기·전원주 교수, 물리학과 이상민 교수 연구진은 광학적인 시공간 경계를 이용해 빛의 색과 위상을 동시에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빛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은 ... ...
- [2018 국감] 내년엔 반복되지 말아야할 과기분야 10대 이슈동아사이언스 l2018.11.04
-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한의학연구원(1억2153만 원)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순으로 가장 많았다. 4대 과학기술원의 경우에는 2억7125만원(1인당 평균 357만 원)을 지원받았고 KAIST(1억1992만 원)와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순으로 확인됐다. ... ...
- 고성능 태양전지 단숨에 구워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8.11.04
- 기술을 개발했다.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김정규 교수, 연세대 화공생명공학부 박종혁 교수 공동연구진은 ‘급속 불꽃 연소 공정 기반 금속산화물 도핑 기술’을 적용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빠르고 손쉽게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 ...
- 지구 닮은 행성 존재 알리고 은퇴하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2018.11.03
- 우주선입니다. 케플러는 지금까지 가장 많은 외계 행성을 찾아낸 사냥꾼일 뿐 아니라, 공학의 놀라운 결과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케플러의 카메라는 매우 민감해서 별 밝기의 100ppm(1만 분의 1)의 작은 차이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구 밖 궤도에서 뉴욕의 가로등 주변에서 ... ...
- 영화 '퍼스트맨' 보는 관객을 위해 정리한 NASA 스토리과학동아 l2018.11.03
- 시설이 갖춰져 있다. ISS에서는 다양한 과학 실험이 진행된다. 이창수 충남대 응용화학공학과 교수는 2012년부터 NASA와 협력해 콜로이드 입자가 결합하는 원리와 과정을 ISS에서 연구하고 있다. 이 교수는 “우주는 무중력 상태라 대류 현상이 없어 순수하게 콜로이드 입자의 결합 과정을 볼 수 ... ...
이전5875885895905915925935945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