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빛낸 15대 산업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자동차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제작 공법이 15대 기술에 이름을 올렸다. 권오경 한국
공학
한림원 회장은 “국제 경쟁이 심해지고 경기 침체가 우려되고 있는 때에 이번에 선정된 15개 기술이 국내 산업 경쟁력을 도약시킬 마중물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
'분자지문'으로 계란속 살충제 실시간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성분이 들었는지 현장에서 곧바로 확인할 방법을 개발했다. 김신현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교수와 김동호 재료연구소 책임연구원 연구진은 분자 상태를 알 수 있는 분자지문을 이용해 계란과 같은 생체에서 뽑아낸 시료에 섞인 미량의 분자를 검출하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 ...
집단지성의 기부, 과학의 하늘을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참여자 김준태 씨의 아이디어에서 나왔다. 평범한 시골 소년이 미국항공우주국(NASA) 로켓
공학
자의 꿈을 이루는 영화 ‘옥토버 스카이’에서 땄다. 이날도 그는 행사 기획단인 ‘10월의 하늘 준비위원회’와 함께하고 있었다. 준비위원회도 특정 조직이 있는 게 아니다. 그해 여름 행사 기획에 참여한 ... ...
[과학게시판]서울대공대
공학
학술상 시상식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송준호 건설환경
공학
부 교수 △고승환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 △강기석 재료
공학
부 교수가 선정됐다. 이 상은 서울대 공대 동문으로 태성고무화학의 창업자인 고(故) 정석규 신양문화재단 이사장이 젊은 교수들을 위해 대학발전기금을 출연하며 2005년에 제정됐다. 올해까지 총 81명의 교수들이 이 ... ...
실용적인 탄소섬유 제작법 ‘홍합’과 그래핀에서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나온 생체 접착 물질을 적용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인호 KAIST 신소재
공학
과 연구원과 김상욱 교수팀은 홍합이 물 속에서 바위 등에 몸을 부착시키는 데 쓰는 물질인 ‘폴리도파민’을 이용해 그래핀 층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고, 이를 이용해 강하고 전기가 잘 통하는 신소재를 ... ...
UNIST, '합리적인 유기물 광촉매 설계 플랫폼'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연구진이 맞춤형 광촉매 개발 플레폼을 개발했다. 권민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
공학
부 교수 연구진은 17일 유기물 광촉매 설계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현재는 고분자 합성에 많이 이용하는 금속촉매로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 ...
모자처럼 쓰면 스마트폰 화면에 뇌 활동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이흥노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부 교수팀은 건식 뇌파(EEG) 전극과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법(fNIRS)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 뇌 활동을 관찰할 수 있는 복합 뇌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뇌 활동을 관찰하기 위한 뇌영상 ... ...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공통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조기 진단과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연구진은 세포의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간 상호작용에 따른 과도한 칼슘 증가 현상이 퇴행성 신경질환의 공통 원인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16일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WT)의 FAS 유전자를 고장 내자(fas 5) 꽃잎 개수가 늘고 열매가 커졌다. -‘네이처 생명
공학
’ 제공 다섯 번째 베리를 꿈꾸며 한편 학술지 ‘네이처 식물’ 10월호에는 게놈편집을 이용한 식용꽈리의 작물화라는 특이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식물로 꽈리를 키우지만(보자기 같은 ... ...
국내 연구진 ‘원자 두께’ 2차원 물질 생산 새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연구원. -사진제공 김지환 교수 홈페이지 *e메일 인터뷰(공동 제1저자 배상훈 MIT 기계
공학
과 박사후 연구원) Q. 그래핀 이후 셀로판 테이프를 이용해 2차원 물질을 만드는 기술이 크게 유행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핀의 경우에는 증착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여러 대면적 제작법이 연구되고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