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04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틀어도 잘 작동하는 웨어러블 기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KIST)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홍용택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교수팀과 함께 박막의 다양한 전기적·기계적 특성과 형태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신축성 전자소자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최근 인체에 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신축성 웨어러블 ... ...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스미스·그레고리 윈터- 노벨위원회 올해 노벨 화학상은 생체 내 단백질인 효소와 항체를
공학
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을 개발한 세 명의 생화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화학상 선정위원회는 3일 프랜시스 아놀드(62)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 조지 ... ...
생명진화의 힘을 유용한 도구로…美英과학자 3인 노벨화학상 수상(종합)
2018.10.03
냈다. 이 약품은 현재 전 세계 매출 1위 의약품으로 유명하다. 박태현 서울대 화학생물
공학
부 교수는 “결국 두 연구는 좋은 단백질을 찾아내 의약이나 화학반응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놀드 교수는 1956년생 미국 미츠버그 태생으로 9년 만에 탄생한 여성 노벨화학상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노벨상 발표를 기다리는 취재진들 -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빛으로 만든 도구를 인류에게 선사한 세 명의 과학자들에게 돌 ... 장치들이 많이 있다. 몇몇 장치들은 암을 치료할 수도 있다. 의학뿐 아니라 화학과, 물리,
공학
등 아주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 ...
"AI·로봇 연구 꿈도 꾸지마?"…늙어가는 노벨상
과학동아
l
2018.10.03
화학, 물리학, 그리고 생리의학 단 세 가지 분야만 있다”며 “컴퓨터 과학이나 로봇
공학
또는 인공지능뿐만 아니라 국제적 담론이 오가는 환경 과학 분야도 무시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다보니 더 중요시 여겨지는 연구가 있음에도 세 분야에 맞는 연구자들에게 상이 수여되고 있다. 브라이언 ... ...
KAIST 양자컴퓨팅 기반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하나로 풀이된다. 이준구 KAIST 양자컴퓨팅 IRTC 센터장(전기및전자
공학
부 교수)은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결국 컴퓨터 성능의 한계에 부딪혀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 차원 더 높은 양자컴퓨터의 도입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교수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 물리학 분야에서 혁신적 발명으로 평가받는 두 분야에 주어졌다. '광학집게(광 핀셋)'와 이를 생물학 연구에 이용할 수 있게 한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박사(96)와 에너지가 크고 매우 짧은 광 펄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한 제라르 ... ...
"더 많은 여성이 노벨상 받을 것"…55년 유리천장 깨다
2018.10.02
교수는 "앞으로 전 세계에 도입된 레이저 장치들을 활용해 암을 치료하고 화학과 물리,
공학
등 아주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물리학상 선정위원회는 이날 도나 교수와 함께 애슈킨 전 연구원과 제라르 무루 프랑스 초고속 ... ...
FT "신고리4호기 매일15억 손실"…원안위"원전 아직 미완 상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매일 15억 원에 달하는 기회비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
공학
과 교수는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해당 원전의 심사절차가 지연되고 있다”며 “이것이 아니라면 이렇게 오랜 지연을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신고리 4호기 ... ...
‘블록체인’ 활용한 자율주행차 사고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른 네트워크 시스템이 필요하다. 김시호 연세대 글로벌융합
공학
부 교수는 2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차량간 신뢰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다가올 자율주행차 시대에 대비할 차량 통제 시스템으로 쓰일 지 주목된다. 연구진은 블록체인 기술을 차량간 ... ...
이전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