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d라이브러리
"
환경
"(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추는 해바라기가 서식한다고 한다. 믿거나 말거나.태양신 퇴색할 것태양은 지구의
환경
뿐만 아니라 지구 위에 살고 있는 우리의 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태양이 2개라면 사람들은 태양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며 살게 될까? 머리 위 하늘에 동그란 해가 2개, 그것도 나란히 떠있는 모습을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침매터널은 선박이 침몰할 경우 터널과 충돌 위험이 있고, 해일이나 지진 등 해저 지질
환경
변화에도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저 지표 아래 지층에 터널을 뚫는 것이 안전하다. 따라서 한일터널은 채널터널과 같은 종류의 터널로 지어질 가능성이 높다.궁금증 3 어떤 교통수단을 사용할 것인가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대해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일깨우는 통계인 것이다.예전에는 우울증의 원인을 주변
환경
이나 어렸을 때의 경험에서 찾고자 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현대의학은 우울증이 뇌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지 못하기 때문임을 밝혀냈다. 특히 노르아드레날린과 ... ...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해하고 원하는 답을 주는 상대에게 감동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것이 바로 감성컴퓨팅
환경
에서 인간이 느끼는 잔잔한 감동이며 향상된 삶의 질이다. 감성컴퓨팅이야말로 진정한 웰빙을 가져다 줄 인간친화적 기술이다. 한국도 1987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인간공학연구실을 설립한데 이어 1992년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중금속 저항 유전자 개발이라는 생명기술(BT) 영역에의 활용과 독성 물질 제거라는
환경
기술(ET)에 이르기까지 그간 세간의 주목을 별로 받지 못했던 식물학 영역에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 이 교수가 보여줄 푸른 대한민국을 꿈꿔본다 ... ...
최초 폰바이러스 '카비르'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동통신 전문가들은 최근 휴대전화로 게임이나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는 등 첨단 서비스
환경
이 갖춰져 있어 안심할 수만은 없다고 진단한다. 이에 안철수연구소는 SK텔레콤과 제휴를 맺고 지난해와 올해 각각 다른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휴대전화 백신을 개발했다. 휴대전화를 아예 못쓰게 만들 수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지구의 기후가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폭발하기 전에 우리는 지금 미래세대를 위해 지구
환경
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하지 않나 싶다.‘투모로우’ 줄거리남극의 얼음 벌판. 주인공인 기상학자 할 박사는 얼음 코어를 시추하던 중 라센B라는 커다란 얼음 덩어리가 떨어져 나가는 순간을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교수를 만났다.■ ‘스마트’ 라는 의미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옷이 주변
환경
이나 상황과 스스로 상호작용해 어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길을 걷는 중 옷에 부착된 센서가 위험을 감지해 ‘그쪽으로 가지 마시오’ 고 경고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전통적인 섬유산업과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수 있을까.생체신호로 컴퓨터, 자동차, 실내조명 같은 주위의 여러가지 생활도구와
환경
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그 중 하나다. 눈동자가 움직이는대로 컴퓨터 화면에서 커서가 이동하기도 하고, 운전 중에 졸음이 몰려오면 자동차가 스스로 가까운 주차장으로 이동한다. 또 사람의 심리 상태에 ... ...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게 전 교수의 설명이다. 산불과 솔잎혹파리로 인한 피해에 지구온난화와 기타 다양한
환경
재해로 생겨난 피해까지 겹쳐, 이런 추세라면 50년 이내에 남한에서 소나무가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그래서 한편으로는 가능한 모든 보존활동을 펴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소나무 사진집과 우리가 알아야 ... ...
이전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