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d라이브러리
"
환경
"(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코캄엔지니어링 대표 홍지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엔진 대신 수질오염 걱정이 없는 전지 사용이 제도적으로 정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
정책이 강화될수록 홍 대표에게는 유리해지는 셈이다.중소기업인 코캄이 세계 시장에서 이만큼 성장시킬 수 있었던데는 그의 경영철학도 한몫했다. 근면성실이 바로 그것.그는 침대 옆에 팩스를 두고 미국에서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상용화될 전망이다.물체 상 대신 맺는 인공망막 시각과 청각은 빛과 소리를 통해 인간이
환경
을 인지하고 세상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중요한 감각 기능이다.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지식이나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의 80% 이상이 눈(시각)과 귀(청각)를 통해서 이뤄진다고 한다.눈과 귀는 ... ...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게 전 교수의 설명이다. 산불과 솔잎혹파리로 인한 피해에 지구온난화와 기타 다양한
환경
재해로 생겨난 피해까지 겹쳐, 이런 추세라면 50년 이내에 남한에서 소나무가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그래서 한편으로는 가능한 모든 보존활동을 펴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소나무 사진집과 우리가 알아야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지구의 기후가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폭발하기 전에 우리는 지금 미래세대를 위해 지구
환경
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하지 않나 싶다.‘투모로우’ 줄거리남극의 얼음 벌판. 주인공인 기상학자 할 박사는 얼음 코어를 시추하던 중 라센B라는 커다란 얼음 덩어리가 떨어져 나가는 순간을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또 그 효과가 식물 전체에 미친다는 점, 특정 병원균이 아닌 다양한 외부병원균과 불량
환경
에 맞선다는 점에서 기존의 생물농약과는 구별된다.최근 한국농업과학기술원이 개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화시엔스 EXTN-1이라는 미생물농약은 바로 이같은 특성을 잘 활용하고 있다. 이 미생물의 균주는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수 있을까.생체신호로 컴퓨터, 자동차, 실내조명 같은 주위의 여러가지 생활도구와
환경
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그 중 하나다. 눈동자가 움직이는대로 컴퓨터 화면에서 커서가 이동하기도 하고, 운전 중에 졸음이 몰려오면 자동차가 스스로 가까운 주차장으로 이동한다. 또 사람의 심리 상태에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양산하던 산업현장은 이런 소음제거기술과 음질개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쾌적한 작업
환경
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소음이 듣기 좋은 화음으로 들릴 때가 올 날이 그리 멀지 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래 삶을 확 바꿀 10대 웰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01.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중금속 저항 유전자 개발이라는 생명기술(BT) 영역에의 활용과 독성 물질 제거라는
환경
기술(ET)에 이르기까지 그간 세간의 주목을 별로 받지 못했던 식물학 영역에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 이 교수가 보여줄 푸른 대한민국을 꿈꿔본다 ... ...
최초 폰바이러스 '카비르'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동통신 전문가들은 최근 휴대전화로 게임이나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는 등 첨단 서비스
환경
이 갖춰져 있어 안심할 수만은 없다고 진단한다. 이에 안철수연구소는 SK텔레콤과 제휴를 맺고 지난해와 올해 각각 다른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휴대전화 백신을 개발했다. 휴대전화를 아예 못쓰게 만들 수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피해를 가져온 강진이 수차례 한반도를 강타했었습니다.”지진학자인 서울대 지구
환경
과학부 이기화 교수의 설명이다. 우리나라에는 1905년 인천에 최초로 지진계가 설치됐다. 따라서 그 이전에 일어난 역사책에 기록된 지진은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 다만 기술된 내용을 보고 진도를 ... ...
이전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