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d라이브러리
"
결합
"(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박테리아로 전기 생산하는 ‘바이오닉 버섯’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마누어 미국 스티븐스공대 교수팀이 나노물질과 남세균을
결합
해 전기를 생산하는 ‘바이오닉 버섯’을 개발했다. 햇빛을 전기로 변환시키는 남세균의 특성은 기존에도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인공적인 환경에서는 남세균이 쉽게 죽는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3차원(3D) 프린터를 이용해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볼 생각을 하니 벌써부터 가슴이 뛴다”며 “위성이 발사체와 기계적, 전기적으로 잘
결합
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발사장에서 추가 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리안 5ECA가 천리안 2A호를 지구 저궤도에 무사히 올려놓으면 천리안 2A호는 약 20일에 걸쳐 날아가 상공 3만6000km 정지궤도에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5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그래핀에 특정 냄새 분자를 맡는 인공 후각수용체를
결합
해 바이오 나노 전자 코를 만들었다. 바이오 나노 전자 코는 사람의 코를 대체해 유독가스처럼 인체에 해를 끼치는 물질을 감지하는 등 응용 분야가 무궁무진하다 교육 프로그램 물리학, 화학, 생물학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ITER 토카막조립팀장은 “100만여 개의 크고 작은 부품들을 레고 블록처럼 차곡차곡
결합
해 장치를 조립하고 있다”며 “한 치의 오차도 허용해서는 안 되는, 세계에서 가장 복잡하고 정교한 인공 구조물”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인공태양’이 ITER의 프로토타입 핵융합은 수소(H)나 헬륨(He) 같이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파급력을 갖기 어려운 시대이기 때문이 다. 새로운 것을 발명하는 것보다 분야 간
결합
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이 중요한 시대다. 이처럼 대학과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는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고민하고 그것을 콘텐츠로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재다. 그렇기에 IT공학도를 꿈꾸는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염료 감응 태양전지의 실내 빛 변환 효율은 20%에 이른다”며 “태양전지를 센서와
결합
하면 사물인터넷(IoT)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수백 가지 센서들에 일일이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도시형 태양전지 개발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뉴하비스트’가 큰 역할을 했다. 뉴하비스트는 생명공학 기술과 식품학이
결합
된 분야인 ‘세포 농업(Cellular agriculture)’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조직 배양 기술은 의학과 생물학에서 먼저 발전했는데, 뉴하비스트가 이 기술을 식품학의 영역으로 전파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이다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성질을 예상해보는 겁니다. 예를 들어 ‘이산화규소 함량이 많으면 공유
결합
이 많으니
결합
력의 세기가 커서 점성이 높을 것이다’라는 식으로 말입니다. 예상이 맞으면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상이 틀렸다고 해도, 자신의 생각에서 어느 부분이 잘못됐는지 곱씹으면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자동으로 생성해 얼굴 표정을 추적하고 이모지로 활용하는 것도 NPU와 카메라 기능이
결합
한 사례다. 촬영된 사진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김 교수는 “앞으로는 AI 프로세서가 스마트폰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발견했다. 주로 암세포나 항원표지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PD-L1은 T세포의 PD-1 단백질과
결합
해 면역 기능을 억제하는 단백질이다. 첸 교수는 PD-L1의 발견을 통해 암세포가 어떻게 우리 몸의 면역계를 회피해 살아남는지 밝히고, PD-L1 항체를 이용한 면역 항암 치료에 관한 연구와 임상 시험을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