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델"(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사라지는 등 급격한 사회적 변화가 생길 수 있으므로, 새로운 세금제도와 고용모델이 필요하다”며 “기본소득이 가능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 것. 김 변호사는 “결의안은 결국 기본소득을 시행하는 법적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기본소득 국가 또는 지자체가 모든 구성원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진단서를 받아볼 수 있다.이런 진단서를 언제 어디서나 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제안한 기업도 있다. 미국의 유전체해독장비업체인 일루미나는 유전정보 분석업체인 헬릭스를 설립하고, 병원에 갈 필요 없이 자신의 유전자 정보를 스마트폰 앱으로 볼 수 있는 ‘DNA 앱 스토어’를 ...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알고리즘 하나에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8개 언어를 모두 학습시켰다. 이를 ‘다중언어모델’이라 한다.이쯤에서 구글 개발팀은 궁금한 게 생겼다. 번역 알고리즘 하나로 여러 언어를 번역할 수 있다면, 직접 배우지 않은 언어도 번역할 수 있을까? 즉, 영어와 한국어, 영어와 일본어를 번역하는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전국의 시군구 행정구역에 얼마나 고르게 퍼져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수리적 모델이라고 판단했다. pi는 i라는 행정구역의 인구에서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비율이다.1985년부터 2015년까지 인구가 가장 많은 15개의 성씨에 대한 엔트로피 값을 비교해 본 결과, 밀양 박씨가 1985년부터 2015년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암흑에너지를 가정한 뒤, 복잡한 적분 계산을 해야 한다. 흔히 ‘평평한 람다 CDM 모델’이라고 부르는 현대표준우주모형은 암흑물질로 액시온이나 윔프 같은 차가운 암흑물질(CDM)을, 암흑에너지로 진공에너지를 가정한다. 아르만 샤필루 한국천문연구원 우주론연구그룹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있다. 많은 진화학자들이 왜 이런 특징을 보이는지 연구하고 싶었지만 그 동안은 적절한 모델이 없어 연구가 수월치 않았다. 권 교수의 연구 결과는 이런 궁금증을 풀어줄 열쇠다. 권 교수는 “정확한 유전체 지도가 밝혀졌으니,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매우 심하게 변동한다는 것을 나타낸다.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행성의 대기에 대한 모델을 세웠다. 행성의 한쪽에서 형성된 구름이 엄청나게 빠른 속도의 바람을 일으키고 반대쪽에서 증발한다는 것이다. 또 연구팀은 이 구름이 루비와 사파이어로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행성의 평균 온도가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학습시킨 것이다. 김준석 리더는 “NMT는 네이버 번역기 ‘파파고’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모델이고, 다른 설계들은 기존에 나와있던 논문을 참고로 한 것이지만, 이 학습법은 아주 독특하다”고 평가했다.심지어 학습 데이터가 없는 언어 간의 번역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나는 사과를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바뀌는지를 계산합니다. 권 선임연구원은 “CCTV 속 사람들을 패턴인식한 뒤 수식으로 모델링하는 작업이 흐름을 예측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과정”이라고 말했습니다.STEP 3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대피로를 설계! 완성된 수식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할 차례입니다. 광화문 광장 가운데에 차벽을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론적으로는 좋은 소자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려움이 많다. 현재 시제품으로 구현된 모델은 없고, 시뮬레이션을 하는 방식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최근 학계에서 주목하는 방법은 ‘On’과 ‘Off’ 두 가지 상태밖에 없는 전기 신호를 받아서 세 가지 상태를 나타내는 똑똑한 소자를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