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물
해조
짠물
기침
수해
바다물
d라이브러리
"
해수
"(으)로 총 69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덮여있다. 만약 이들 만년빙이 지구온난화현상 등의 결과로 모두 녹아내린다면 지구
해수
면이 60m 정도 상승할 것이다. 이것은 서울에 있는 63빌딩의 10층 이상을 잠기게 할 정도의 엄청난 양이다. 과거에는 수풀이 우거졌으나···남극은 빙하기에 홀로 격리된 후 지구상의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서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북동사면을 삼키고 있는 침강현상은 그 후자로 이해되고 있다.하와이제도 주변의 심연은
해수
면에서 약 4천5백m 깊이인데 이를 관통하는 힘(momentum)은 이 심연 윗부분에서 경사면을 움직인다. 하와이의 심연은 엄청난 하중의 화산에 짓눌려있기도 하다.하와이의 해안선은 멀리서보면 마치 물에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베네치아의 수해의 원인으로는 두가지가 거론된다. 첫째로 지각(地殼)의 변동으로 인해
해수
면이 상승하고, 둘째로 베네치아가 위치한 섬들의 기반이 침강하기 때문이다. 대홍수가 있었던 이후 1960년대 말부터 베네치아를 구출하기 위한 야심적 보존사업이 시작됐다. 세계각국에서 파견된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노출되어도 아무런 지장이 없지만,
해수
중에서는 미세한 흠집만 있어도 즉시 누전되거나
해수
가 스며들어 인명피해와 장비의 손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모든 전기류는 완전한 방수가 되도록 내압피복(耐壓被覆)을 씌우거나 비전도체 기름에 담가 놓아야 한다. 해저유전개발에 자극받아잠수정의 ... ...
해수
온도 변화가 남극 오존구멍의 원인?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열과 운동량과 오존을 움직이는 수km의 길고 큰 기류와 간섭현상을 일으킨다. 적도
해수
온도 상승이 불러일으키는 또하나의 효과는 성층권과 대류권의 권계면에서 국지적 이동을 발생시킨다는 점이다.요컨대 화학작용과는 별개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이다. 컴힐의 가설에 화학자들은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빙하시대의
해수
온도가 낮아져 석회질 성분의 용해도가 커졌는데 빙하기가 끝난 후
해수
온도가 증가하면서 바다 속에 녹아 있던 많은 양의 석회질 성분들이 생물의 골격형성에 사용됐다는 생각이다.또 어떤 학자들은 육식동물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생물의 골격이 형성됐다고 주장한다.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서태평양으로 몰리게 돼 동고서저의 기압기울기가 강화된다. 그러나 서태평양에 더운
해수
가 충분히 모이게 되면 그곳의 공기는 대단히 불안정하게 된다.예컨대 작은 대기의 변동에 의해서도 대기가 쉽게 반응, 대류운을 만든다. 이때 이 대류운과 함께 켈빈파가 발생되고 이 켈빈파는 여러 과정을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왔으나 현재 우리가 아는 여러가지 현상, 즉 구조운동 화산작용 조산운동 조륙운동,
해수
면 변화, 대륙빙하의 발달, 기후의 대변화 등은 진화론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진화론적 사고가 무조건 옳고, 격변론적인 사고는 무조건 옳지 않다는 생각은 마땅히 수정돼야 할 것이다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않았겠습니까.사회 외견상으로는 단구인 것도 같은데 그 성인이 융기인지 아니면
해수
면 변화인지는 잘 알 수가 없군요. 이 문제는 결국 크게 보면 판구조론과도 맞물리는 것일텐데요. 여기서 밝힐 수는 없는 내용인 것 같으니 전문연구진에게 과제를 넘기도록 하죠.박정웅 울릉도 주변해안에 관입 ... ...
세계 기후모형 다시 제작해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
온도를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고려해야 올바른 기후모형을 만들 수 있게 될 것이다."사실 그동안 식물성 플랑크들은
해수
온도 상승의 주요 공범으로 인식되기 보다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가진 해결사로 더 주목받아 왔다. 더구나 최근에는 이산화탄소량의 증가에 따른 온실효과가 전세계적인 관심사가 되면서 식물성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