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물
해조
짠물
기침
수해
바다물
d라이브러리
"
해수
"(으)로 총 69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나타났던 찬 날씨는 고제국이 망할 때(B.C.2300년)까지 계속됐다. 따라서 지중해
해수
의 증발량은 약간 줄어든 반면 나일강의 수량은 크게 증대돼 풍성한 수확물을 계속해서 주민들에게 제공했다.고대 이집트의 문화는 쌀쌀한 기후하에서 급속히 발전했고 특히 미술공예품의 생산증가는 예상을 넘을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둘러보았다. 울릉도를 연구한 기존의 논문들은 이 섬의 전체높이가 약 3천m이며 그중
해수
면 위에 솟아있는 것은 1천m에 불과하다고 밝힌다. 즉 동해상에 우뚝 솟아있는 형태로서 울릉도 해안에는 모래사장이 없고 수심이 급속히 깊어져 헤엄을 칠만한 얕은 곳도 흔치 않다. 대신 바닷물은 글자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화산섬은 지각의 냉각과 함께 수심이 깊어져서 점점 가라앉게 되고 화산의 정상부가
해수
면에 접근했을 때 파도의 침식작용을 받아 산꼭대기 부분이 평평한 기요를 이루게 되었다. 윌슨은 이러한 열점이 지구상에 많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조사를 착수해 1백여개의 열점을 보고했다. 여기에는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보물창고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물을 탐사하고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해수
중이나 해저에서 많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주 얄은 바다를 제외한 모든 바닷속은 높은 수압 그리고 짙은 어둠 등으로 육상과는 전혀 다른 환경을 구성하고 있어 인간의 접근을 한층 더 어렵게 하고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50% 이상을 흡수한다. 일반적으로 대기가 더워지면 해면의 온도도 동반 상승, 결국
해수
의 수직온도 구조가 더욱 안정상태로 변하게 돼 해양의 수직적 혼합(mixing)이 이뤄지지 않는다. 따라서 해양으로의 이산화탄소 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특히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플랑크톤(phytoplankton)이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빙하의 형성으로 인해 해면이 지금보다 85m 가량 낮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낮아진
해수
면으로 인해 많은 육지와 섬들이 연결됐으며 이 시기에 인류가 아시아에서 북미대륙으로 이동할 수 있었을 것이다. 북미대륙의 빙하는 1만4천여년 전부터 줄어들기 시작했으며 8천여년 전에는 완전히 자취를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러한 하천 발달과정을 거친 결과, 대지 위에 퇴적된 구석기 유물의 상당량은 그 이후의
해수
면 변동 및 그로 인한 하상면 고도와 하천운동량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남을 수 있게 된 것이다.그렇다면 여기에 인간이 들어와 살기 시작 한 것은 언제 쯤일까. 다시 말해 임진강 유역에서 ... ...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야기를 어떻게 과학으로 설명한단 말인가.40일이 아니라 4백일을 비가 내려도
해수
면은 상승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강수현상은 지구의 수권에서 일어나는 순환현상이기 때문이다. 성서의 기록대로 홍수가 일어났다면 수권의 양이 현재의 세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엄청난 양의 물이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평상시보다 약해지거나 서풍으로 바뀌었을 때 남미 앞바다가 평상시보다 따뜻한
해수
로 덮이게 되는 현상인데 1982년 말에 나타난 엘 니뇨는 사상 최대의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학자들은 엘 치촌 분화로 성층권에 유입된 화산성 에어로졸이 적도 태평양 지역의 바람을 서풍계열로 바꾸는데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위한 구체적 계획이 결여됐다'며 건설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즉 △
해수
교환율이 10%이상 떨어지고 유속이 감소돼 연안 수질오염이 가중될 위험이 있으며 △주변어장 및 양식장의 소멸과 생태계변화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고 △송도 영도지구의 토취장개발에 따른 자연훼손이 크게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