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뉴스
"
덩어리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양말처럼 편한 구두, 3D 스캐너로 만든다
2015.07.22
맞춤형 구두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발 모양을 본떠 플라스틱
덩어리
로 ‘구두골’을 깎은 다음 맞춤 구두를 만들어 왔다. 장인이 1개월 이상 작업해 구두골을 만든 다음에야 구두 제작이 시작된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발을 3D 스캐너로 읽어 들인 다음, 3D프린터를 이용해 ... ...
도라지와 관중 성분, 혈전증 위험 낮춘다
2015.07.14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할 만큼 치명적인 질병이다. 그중에서도 피가 굳어 생긴
덩어리
가 혈관을 막아 생기는 ‘혈전증’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연구진이 한약재 추출물에서 혈전 형성을 억제해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신소재를 찾아냈다.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바닷물에는 황갈색 기름이 둥둥 떠다니고 있었고 모래사장 여기저기에 시커먼 기름
덩어리
가 엉켜 있었다. 취재할 생각도 잊고 멍하니 끔찍한 광경을 바라보던 필자의 머릿속에 뜬금없이 엔트로피가 떠올랐다. 유리잔에 담긴 맹물에 검은색 잉크 한 방울을 떨어뜨리면 마치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듯이 ... ...
대학 수학 잘 하는 비법은 있을까
2015.07.05
나선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놀라운 가설’은 인간의 의식이 머릿속 뉴런(신경세포)
덩어리
, 즉 상호작용하는 수많은 뉴런 집합의 움직임이라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신이 연구를 통해 얻은 중간 결과를 내놓는 데 그치지 않고 후배 과학자들에게 의식의 문제를 진지하게 다룰 ... ...
목표치 더 높아진 온실가스 감축… 업계 “정부에 뒤통수 맞아” 반발
동아일보
l
2015.07.01
표명한다”며 “정부의 과도한 감축 목표는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는 또 하나의 암
덩어리
규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전경련 등이 전망한 2030년 BAU는 9억70만 t 수준으로 정부가 발표한 8억5060만 t에 비하면 5000만 t가량이 많다. 이 때문에 산업부문의 감축치가 낮더라도 절대목표치가 올라간 ... ...
식중독의 계절… 냉장고 너무 믿지 마!
동아일보
l
2015.06.29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냉동식품을 살 때 포장 내부에 서리나 얼음
덩어리
가 있으면 냉동·해동 과정을 반복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피하는 게 좋다”며 “가능하면 여러 손을 거쳐 조리된 음식이나 임의로 만들어서 파는 반가공식품의 구입도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어떻게 된 일일까요? 기자들이 본 화석은 멸종된 화석소철목의 잎이었어요. 커다란 화석
덩어리
에는 약 1.2~2억 년 전 쥐라기 시대의 다양한 식물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지요. 지금의 남극 땅은 쥐라기 시대에는 적도 쪽에 위치했지만, 판이 이동하면서 지금은 남극에 위치하게 됐어요. 그래서 더운 ... ...
콜라겐으로 세포시트 5분 만에 만든다
2015.06.03
만들기 위해서는 1시간 이상이 소요됐다. 온도에 민감한 특수 고분자 위에서 세포
덩어리
를 키운 뒤 20도 이하로 온도를 낮춰 고분자가 온도에 반응해 세포를 떨어트리는 형태로 세포시트를 얻었다. 연구팀은 고분자물질과 콜라겐이 열에 반응하는 현상을 이용해 세포시트를 얻어냈다. 먼저 전기가 ... ...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
2015.06.02
우리 몸이 맛이나 향을 느끼려면 잘게 분해된 상태의 아미노산이 필요하다. 단백질
덩어리
의 맛을 직접 느낄 수는 없다).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의 제조, 가공과 이용 등에 대한 규정을 담은 '식품공전'에 따르면 이렇게 산으로 식물성 식재료를 가수분해한 제품을 '식물성 단백가수분해물(HVP) ... ...
자외선만 내뿜는 양자점 LED 나왔다
2015.06.01
1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양자점은 수백~수천 개의 원자가 뭉친 지름 10nm 안팎의
덩어리
로, 전압을 걸어 주면 스스로 빛을 내는 성질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양자점 LED가 자외선처럼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빛을 내려면 높은 에너지 차이를 극복해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