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237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즈·붕대 대신
전기
자극으로 지혈…과다 월경에 적용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있는 돼지를 대상으로 이 치료법을 시험했을 때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전기
자극이 비장에 도달하면 비장 내 칼슘 흡수가 촉진되며 혈소판 운동이 활발해진다고 설명했다. 또 손상된 혈관에 도달했을 때 혈액 응고 작용의 안정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지혈 효과를 낼 수 있다는 ... ...
전기
차 '3분 20초' 만에 충전하는 케이블 냉각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연구성과는
전기
차 충전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전기
차 사용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doi.org/10.1016/j.icheatmasstransfer.2024.108059 이승현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계로봇공학부 교수(왼쪽)와 정해인 박사과정생. GIST ... ...
[사이언스게시판] '모방하는 인간, 호모 미메티쿠스'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논문 등이 실물로 전시된다. IR52 장영실상 부문에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전기
차 배터리 기술 개발 내용과 모형 등이 전시된다. 전시는 매월 수상자를 교체해 전시된다. 권석인 국립중앙과학관장은 "국민들이 첨단 과학기술의 개발 과정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며 "많은 분이 ... ...
재활용해도 성능 유지되는 '센서 소재', 폐기물 저감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재활용 가능한 전도성 재료들은 재활용 과정에서 기계적·
전기
적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동적 고분자 네트워크(DPN)'를 기반으로 재활용 가능한 차세대 센서 소재를 개발했다. DPN은 분자 사이의 결합이 공유 결합이 아닌 동적 결합으로 이뤄져 있어 결합이 ... ...
"
전기
차 화재, BMS 고도화해야…문제는 데이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기술력에서만큼은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다는 게 김 교수의 생각이다. 최근
전기
차 화재 사고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기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특히 앞으로 화재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여겨지는 전고체전지 등 차세대 배터리가 나오더라도 BMS 연구는 계속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 본지 20년 그래핀, 잠재력 무궁무진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면적의 20%를 늘려도 끄떡 없을 정도로 신축성도 좋다. 더구나 이렇게 구부리거나 늘려도
전기
전도성이 사라지지 않는다. 이같은 특성 때문에 당시 그래핀은 새로운 반도체 소자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으며 과학계에 스타로 떠올랐다. 유기화학 반응을 이용해 그래핀 반도체를 만들 경우 기존 ... ...
인공지능으로 화재도 감지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2
마구 흩어지고 평소에는 닿지 않던 센서에도 들어가게 되지요. 빛을 감지한 센서는
전기
회로로 신호를 보내 비상벨을 울립니다. 광전식 화재경보기. Heimrauchmelder 제공 적은 양의 연기에도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감지기를 쓰면 더 빨리 화재를 발견할 수 있지만 불이 나지 않았는데 비상벨이 잘못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9월 3일 오후, 한국
전기
연구원(
전기
연) 안산 분원 1동의 신경전자공학 실험실. "지금부터
전기
자극이 들어갈 건데요. 전류량은 최대 2mA(밀 ... 억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것입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0월호, [현장취재]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을 없앤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인공지능과 물리학의 경계를 허물다
2024.10.11
긍정적인 혁신이 일어날지, 그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필자 소개 유창동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공학응용학과를 졸업하고 코넬대와 메사추세츠공대에서 각각 전지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통신(KT) 연구개발본부 선임연구원을 거쳐 KAIST에 임용된 ... ...
[과기원NOW] KAIST, 국내 최초 인공위성 개발한 최순달 박사 추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아버지로 불리는 고 최순달 박사의 10주기 추모식을 거행했다. 최 박사는 1981년 한국
전기
통신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하고 전전자교환기 개발을 주도해 ‘1가구 1전화’ 시대를 열었다. 1989년 인공위성연구소를 설립한 지 3년만에 우리별 1호를 개발해 발사에도 성공했다. 이번 추모식에서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