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배열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의했다. 그는 “적절한 비례로 지어진 건축물에서 모든
부분
들이 전체적으로 대칭되게 잘 어울릴 때 조화가 획득된다”고 했다. 인체 표현의 대칭성 비트루비우스의 이러한 생각은 르네상스 시대에 레오나르도 다 빈치에게 계승됐으며 그는 인체를 건축과 같은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이 모습을 다시 볼 수 있다.이날 금성은 오후 2시 11.1분부터 5시간반에 걸쳐 태양의 남쪽
부분
을 통과하는데,해가 진 뒤인 저녁8시가 넘어 태양에서 빠져나오게 된다.이 현상은 8년뒤인 2012년6월6일 아침에 다시 한번 생긴 후 2117년 12월10일까지 1백년 이상 다시 일어나지 않는다 ... ...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이 문제를 해결했다. 사람 뇌에서도 발견뉴런의 재생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
부분
동물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사람에게 적용되기에는 수많은 안전성 검증 단계를 거쳐야 한다. 다만 사람의 경우에도 뉴런이 재생된다는 점은 밝혀진 상태다. 1998년 11월 미국 캘리포니아 솔크연구소는 성인의 ... ...
만약 전자 질량이 양성자와 비슷해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엄청난 질량을 가진 블랙홀이 자리잡고 있다. 우리가 속한 은하계인 은하수의 아주 작은
부분
인 태양계의 중심에는 태양이 자리잡고 그 주위에는 행성들이 공전한다. 코페르니쿠스 이전에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인 줄 알았으나 현대적인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에는 중심이 정의되지 않는다. 태양의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대개 왼쪽 고환이 오른쪽보다 낮게 쳐져서 비대칭을 이룬다. 이외에도 사소한
부분
에서 여러 가지 비대칭을 찾아 볼 수 있다. 한쪽 어깨가 조금 올라갔다든가 한쪽 가슴이 큰 사람도 있다. 왼쪽 가슴이 큰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오른쪽 가슴이 큰 사람이 있는 것처럼, 이러한 편차는 몸의 어느 쪽에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휴양고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켄트로사우루스 등 약 12종이 알려져 있으며 대
부분
쥐라기(2억8백만년 전 - 1억4천4백만년 전)에 살았지만 몇 종은 백악기(1억4천4백만년 전-6천5백만년 전)까지 생존했다.안킬로사우리아(Ankylosauria)의 몸은 조그만 골편으로 덮여 있어 공룡 중에서 가장 완전하게 몸을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구에 살고 있는 영장류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이라는 위험한 상태에 직면해 있다. 대
부분
의 영장류는 대개 식량을 필요로 하는, 그리고 삼림지대를 그대로 보존할 수 없는 개발도상국가들에 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보존문제는 국제적으로 해결해야 한다.유인원들은 아직도 먹기 위해, 또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있다. 중국에서는 이것을 별자리 28수(宿)의 하나인 삼(參)으로 불러 왔다. 오리온의 허리
부분
에 삼태성으로 불리는 3개의 2등성이 같은 간격으로 비스듬히 놓여있다. 삼태성의 오른쪽 델타(δ)별은 천구의 적도가 지나기 때문에 세 별이 뜨는 위치가 정동, 지는 위치는 정서가 된다. 또 삼태성을 그대로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체세포를 복제했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었다. 정자와 난자를 이용하지 않고 몸의 어느
부분
이든 떼어내 이를 복제하면 원래의 생물과 똑같은 DNA를 가진 생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점은 올더스 헉슬리도 상상해내지 못했다.한편 복제에 의해 태어난 돌리가 생식능력을 갖지 못할 것이라는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들 중에는 바람을 이용해 멀리 날아가 퍼지는 식물들이 많다. 민들레 씨 또한 머리
부분
에 잔털이 달려있어 쉽게 바람을 타고 멀리까지 퍼져간다. 아마 ‘홀씨는 바람을 타고 퍼진다’와 ‘민들레 씨도 바람을 타고 퍼진다’는 두 사실을 연결해 ‘바람을 타고 퍼지는 민들레 씨는 홀씨다’는 ... ...
이전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