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커지면 땅 속에서 더욱 강렬한 움직임을 일으키고, 이 힘에 밀려 대륙 연변부의 약한
부분
이 떨어져 나간다. 바로 일본이 더 이상 유라시아판에 붙어있지 못하고 태평양쪽으로 떨어져 나간 상황이다.그러나 또다른 설명도 있다. 1980년대 중반 프랑스의 졸리베 박사는 동해가 만들어진 원인에 대해 ... ...
2. 과학으로 해부한 6가지 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성분과 역할이 밝혀지더라도 화학물질만으로 사랑이라는 정서를 설명하기엔 부족한
부분
이 너무 많다. 바로 우리의 마음을 보지 못하면 말이다. 이 마음이 30개월의 사랑을 30년, 50년의 사랑으로 만드는 지혜의 샘일 것이다.Wise men say only fools rush in, but I can't help falling in love with ...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검색엔진에서 MP3라고 입력만 하면 관련 사이트가 무궁무진하게 펼쳐지기 때문. 물론 대
부분
의 무료 사이트들은 규제 때문에 오래 유지되는 경우가 드물다. 유료 사이트의 경우는 곡당 9백원 정도에 MP3 파일을 제공하고 있다.C&C NEWS인터넷방송 종합정보망 캐스트서비스한번 클릭으로 인터넷방송의 ... ...
벌레를 훈련시킨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맥코넬은 잘린 두도막 가운데 뇌가 있던
부분
에서 재생된 벌레뿐만 아니라 뇌가 없는
부분
에서 재생된 벌레까지도 훈련내용을 간직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에 대해 맥코넬은 훈련내용이 벌레의 뇌가 아니라 화학물질의 형태로 몸에 저장돼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 ...
아홉수와 13일의 금요일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0으로 하면, 101이 된다. 바코드에서 6을 나타내는 부호중 하나가 1010000인데 이것을 앞
부분
만 따다가 6이라고 본 것이다.그러나 이 선들은 숫자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바코드를 읽는 기계가 인식하기 쉽도록 기준점 역할을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바코드에 666이 새겨져 있다는 소리는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수 있다. 그러나 자연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호흡한 공기에서 산소가 차지하는
부분
압력은 ‘(대기압-허파내수증기압)×0.2093(대기중 산소비율)’으로 정의된다. 허파내 수증기압은 그대로이고 고산으로 갈수록 대기압은 감소해가므로 호흡으로 빨아들인 공기에서 산소분압은 계속 줄어든다.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러한 사정은 다른 나라에서 개발한 로봇들도 비슷하다. 그래서 지금까지 개발된 대
부분
의 로봇들은 원격조종에 의해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은 걷거나 명령을 받은 물건을 집어 옮기는 정도에 불과하다.그런데 최근 감성과 지능을 가진 로봇 연구가 미국과 일본에서 활발하게 ... ...
9월 8일은 중력의 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은 매년 9월 8일을 중력의 날로 정하고 새로운 중력가속도 측정 방법을 공모한다.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이 ... 직선의 기울기는 9.83m/초²으로 이론적인 중력가속도값과 비슷하다. 들쭉날쭉한
부분
은 빗살의 간격이 고르지 않아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세포만 유전자가 변형된 셈이다. 그 결과 수정란이 분화돼 하나의 개체가 형성되면 ‘
부분
적으로’ 유전형질이 변형된 동물 ‘키메라’(chimera)가 탄생한다.이 키메라를 어디에 쓸 수 있을까. 과학자들이 노리는 것은 변형된 유전형질이 키메라의 생식세포로 전해지는 것이다. 이 생식세포를 통해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전혀 엉뚱한 데이터가 돼버린다. 0이 0.8로 왜곡돼 1로 인식되는 경우, 이것이 중요한
부분
의 정보라면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예를 들어 가로 화소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왜곡돼버리면 전체 영상의 가로 크기가 전혀 엉뚱하게 되는 식이다. 이미 위성이나 케이블 방송중인 디지털TV를 보면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