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d라이브러리
"
생각하기
"(으)로 총 10,90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들의 나이팅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2
땅거미가 내려앉은 주택가의 한 쓰레기통 주변. 인적이 드문드문해질 무렵, 조그마한 검은 그림자가 하나 둘 나타납니다. 눈치를 힐끗힐끗 살피던 그림자의 주인공들은 주위에 아무도 없다는 걸 확인하자 음식물 쓰레기 봉지를 뜯기 시작합니다. 곧 쓰레기통 주변은 그들이 파헤쳐 놓은 쓰레기 봉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02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딥 임팩트가 혜성 템펠1과 충돌하는 임무를 띠고 1월 12일 발사됐다. 탐사선은 탑재한 충돌선 임팩터를 발사한 뒤 혜성에서 500km 떨어진 거리에서 충돌 현장을 촬영하며 혜성 내부의 구성물질이 관측될 전망이다. 생물체에 섭취된 물질의 대사속도(代謝速度)를 나타 ... ...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02
“시험관내 진화기술은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인간게놈프로젝트를 창시한 찰스 칸토 박사는 삼성종합기술원의 초청세미나에서 이렇게 말했다.생명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분자인 DNA와 RNA가 지구상에 출현한 것은 약 40억년 전. 초기에는 단순히 자신을 복제할 수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02
‘태백산맥, 낭림산맥, 강남산맥, 차령산맥...’. 학창시절 줄기차게 외웠던 산맥 이름이다. 지금도 교과서에 그대로 나온다. 누구나 어릴 때 산맥과 강 이름을 외우면서 처음으로 우리 국토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새 산맥지도에 따르면 우리에게 익숙한 차령, 노령산맥은 존재하지 않고 교 ... ...
MS 철옹성 무너뜨린다
과학동아
l
200502
“마이크로소프트 독점 무너지기 어렵죠.” 최근 리눅스 돌풍을 예고하며 한중일 합작의 아시아눅스 한국 파트너로 선정된 한글과컴퓨터 리눅스OS팀 김진광 팀장의 반응이다. 한국은 세계 유일의 자국어 소프트웨어 보유국이다.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오피스 프로그램 중 MS워드는 한국에서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02
아이들이 커가며 꼭 갖고싶은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지구본’이다. 삐딱한 축을 중심으로 지구를 돌려가며 아이들은 세계의 곳곳을 여행한다. 지구본을 통해 우리나라가 얼마나 작은지를 실감하면서 약간 실망하기도 한다.이제 눈을 밤하늘로 돌려 드넓은 하늘을 배경으로 세계지도를 그려보 ... ...
성냥개비 기하학
과학동아
l
200502
문 :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 가운데 퍼즐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도구는 성냥개비가 아닐까 싶다. 성냥개비는 똑같은 길이의 선분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를 묻는 수학 문제의 모델로 아주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번 달은 성냥개비 퍼즐 가운데 가장 유명한 문제를 골라봤다.성냥개비 6개를 ... ...
카메라 렌즈는 동그란데 왜 사진은 네모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1
동그래도 사진은 네모나게 나온다는 사실…. 처음부터 그렇다고 들어서 당연한 걸로
생각하기
쉬운 것이지만 그런 것도 왜 그럴까, 다른 방법은 없을까 하고 생각해 보는 습관도 길러보자구요 ... ...
'사이언스' 선정 2004년 10大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0501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팀의 인간배아복제 연구가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의 ‘2004년 10대 연구’ 중 3위로 선정됐다. 사이언스 12월 17일자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화성탐사 로봇의 생명탐사 업적’을 올해 최고의 연구 성과로 소개하고‘인도네시아에서 발견한 소형 인류 화석’에 ... ...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01
“날아가는 새들 바라보며 나도 따라 날아가고 싶어∼ 파란 하늘 아래서 자유롭게 나도 따라가고 싶어∼”가수 변진섭의 노래 ‘새들처럼’의 가사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지만 땅이라는 2차원 세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새들은 3차원 공간을 비상하며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특히 어느 ... ...
이전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