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지상에서 우주로 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방송 서비스사업이다. 이들은 주로 정지궤도 위성에 의한 고정 단말 서비스인데, 최근 이
분야
에서 주목할 만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즉 그동안 군사용으로만 사용되던 저궤도 소형 위성의 상용화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새로운 시장 전망을 찾은 저궤도 위성을 이용한 이동통신 사업은 ... ...
2. 21세기 충격 예견-발간 앞둔 '미래로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하이퍼텍스트로 무장된 디지털 교과서를 통해 각 개인의 관심
분야
를 탐험(explore)하는 이 교육 혁명은 학령기의 학생뿐 아니라 평생교육에도 적용된다. 그래서 미래의 학생들은 무한정한 참을성과 능력을 가진 선생님을 '즐기며' 자신의 지적욕구를 충족할 것이라고 ... ...
2. "이동통신 시장 잡아라" 불꽃다툼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이리듐 계획이라 이름 붙여졌다.모토로라는 전세계 휴대폰 시장을 석권할 만큼 이동통신
분야
에 강하고 반도체 컴퓨터 통신장비 등에도 다른 일류기업에 뒤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모토로라가 이러한 계획을 발표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실현 가능성을 의심했다."전세계 위성 통신시장의 80% ... ...
길이·각도가 빚는 신비의 삼각함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삼각함수의 특성은 3백60˚를 단위로 해서 한 바퀴씩 돌아간다는 사실이다. 그 주기성 때문에 삼각함수가 모든 과학의
분야
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고대 그리스인은 도형의 ... 거리)④ 정확한 지도(삼각 측량, 지도 작성)⑤ 함수의 연구(푸리에 급수)로 모든 과학
분야
에 파들어 간다 ... ...
성의 기원 6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성(性)만큼 일상적이면서도 비상한 관심거리이고 신비의 베일에 쌓인 문제도 없다. 생물에게 성은 왜 있는가. 성의 과학적 기원을 찾아보려는 노력은 생물학 의학 진화학 인류학 동물행동학 등 다양한
분야
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성의 기원에 얽힌 의문 6가지를 뽑아 보았다. ...
3. 정보고속도로·방송, 대혁명 눈앞에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저궤도 위성군을 이용한 텔레데식사의 고속 정보망 구축계획이 있다.위성통신은 방송
분야
에서도 질적, 양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현재 위성 방송 방식은 1개 채널(대역폭 약 27-36㎒)에 1개 TV 프로그램을 아날로그 방식인 주파수 변조로 방송하고 있다. 국내에서 수신할 수 있는 일본이나 홍콩의 ...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멀티미디어윈도스가 발표되면서 많은 발전을 보여왔던 부분중에 하나가 멀티미디어
분야
다. 실제로 윈도스가 일반화되면서 멀티미디어는 한단계 더 성숙했다고 보여진다. 이는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장비와 소프트웨어들이 윈도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도 입증된다.윈도스 95는 멀티미디어 ... ...
[1] 보이지 않는 에너지-정신·물질세계 모두 작용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등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이 부문은 서양의학에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
다. 모든 신경성질환이 그러한 예이며 '뇌와 마음'의 관계를 다루는 최근의 신경생리학은 바로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다. 물론 여기에서도 입장의 차이는 존재한다. 서양의학은 뇌의 사고나 마음의 작용이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정규교육을 받고 본격적인 연구활동에 전념하며, 3세대는 스스로의 연구능력으로 새로운
분야
를 개척하고 획기적인 업적으로 세계의 과학기술계를 이끈다는 주장이다. 정박사는 "지금 우리는 70년대부터 양성되기 시작한 2세대에 이어 3세대 과학기술자를 고대하고 있다"며 "이들이 세계를 향하여 ... ...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거대한 유기체와 대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지구는 살아있다초유기체의 개념은 과학
분야
에 널리 응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지구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지구를 초유기체로 본다는 것은 지구를 하나의 살아있는 생명체로 간주한다는 의미이다. 지구가 살아있다는 생각은 인류의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