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다른 이론을 스스로 체계화할 수 있는 신념과 능력이 필요할 경우도 있다.저명한 미래
학자
인 앨빈 토플러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지금은 과학기술이 점차 영향을 증대하고 있는 시기이며, 앞으로 21세기에는 과학기술의 변혁이 우리 인류문명을 보다 큰 폭으로 좌우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소용돌이 은하'로 불린다. 이것은 1845년 로드 로제(Lord Rosse, 1800~1867, 영국 천문
학자
)에 의해 밝혀진 최초의 나선 은하이다. 이 은하의 특징은 나선 팔의 한 쪽 끝에 작은 위성 은하가 보인다는 것이다.밝기는 8등급으로 관측조건이 좋다면 쌍안경으로 뿌연 안개 덩어리를 볼 수 있다. 아마추어들이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Per Minute, 분당회전수)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를 소개하고 있다. 분자생물분야의
학자
들도 박테리아나 미생물의 운동을 관찰해 이들의 운동원리를 모방한 기계를 만들어내고 있다.배추벌레나 지렁이의 운동을 배운다미소기계의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운동원리가 있겠으나 보편적으로 개발된 ... ...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태아기에 결정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 물음에 대답하는 연구가 최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시에 위치한 퀸스대학소속 심리
학자
인 피터 헤퍼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그는 임신 12주부터 태어나기 직전까지의 태아 2백7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어느 쪽 손가락을 빨고 있나를 유심히 살폈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초음파기기.그가 ... ...
수수께끼의 과
학자
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높여준 것만은 틀림없다. 그러나 이 일이 과연 가능했을까. 여기에 대한 의문도 여러
학자
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김정호가 감옥에서 일생을 마쳤다는 설도 액면 그대로 믿기에는 미심쩍은 부분이 많다. 한편에서는 일제가 그들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조작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잘 보존돼 있다. 또 격렬한 대기의 활동이 일어나고 있고 자기장이 강력하다. 그래서
학자
들이 이들에 갖는 관심은 대단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선에 의한 목성탐사가 일찌감치 이루어졌고 또 현재도 진행중에 있다.파이어니어(Pioneer)10호와 11호가 각각 1973년과 1974년 말에 목성을 탐사했고, 1979년 ... ...
1. 과학고 KAIST는 과
학자
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본질에 비춰 보면 확실히 그릇된 생각임을 알 수 있어요"라고 말했다.물론 20세기 과
학자
의 대명사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의지와 동기로 대성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이 영재교육을 받았더라면 더 위대한 업적을 남겼을지도 모른다 ...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아마도 흰개미가 익충(益蟲)역할을 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일 것이다"라고 말한다.한편 과
학자
들은 흰개미가 왜 수직 대신 수평방향으로만 집을 짓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블랙은 흰개미들이 자신들의 보금자리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런 방향을 취한 것이라고 추측한다. 이들은 집을 ... ...
지구밖 생명체 연구와도 관련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먼지가 응축돼 태양과 행성들이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이 이후 성운설은 현재까지 여러
학자
들의 의견이 덧붙여지면서 점점 세련돼 왔다. 그러나 그 본질은 18세기 성운설과 크게 차이가 없다. 태양계와 다른 행성계가 발견된다면 성운설은 한단계 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항성의 위치를 ... ...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것은 마치 인간이 스스로 날 수 있는 섬을 발견한 것과 같은 기적이다"라고 MIT의 언어
학자
촘스키는 말한다.그러나 칸지의 보호자들은 이 영리한 원숭이가 더 많은 놀라운 일을 하리라고 기대하고 있다. 칸지는 이제 6백50개의 문장을 이해할 수 있다 ... ...
이전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