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우리사회에 어떤 종류의 과학기술이 필요하게 될지 먼저 가늠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과
학자
가 자신의 연구를 평생토록 수행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주제에 대한 흥미이지만 사회적인 필요성이 자신의 연구를 뒷받침하지 않는다면 성과를 남기기 어렵기 때문이다.모자라고 넘치는 고급인력9 ... ...
고향 찾아가는 희귀한 말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 탐험가는 죽은 말의 가죽과 뼈를 성베드로 박물관으로 가져왔는데 바로 거기에서 박물
학자
들은 그 말이 보통말과 같지 않은 종자임을 발견했다.탐험가의 이름이 니콜라이 펄저왈스키였던 까닭에 그 말 또한 펄저왈스키의 말이라 부른다. 우리가 익숙해 있는 평범한 말, 즉 수레를 끌고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행세했지만, 오늘날에는 한낱 미신으로 전락해 버렸다.UFO현상은 오늘날 대부분의 정상 과
학자
들(normal scientists)에 의해 미신의 취급을 받고 있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UFO현상에는 현재의 물리법칙에 어긋나는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현재의 패러다임하에서 과학으로 인정받기는 불가능하다.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Per Minute, 분당회전수)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를 소개하고 있다. 분자생물분야의
학자
들도 박테리아나 미생물의 운동을 관찰해 이들의 운동원리를 모방한 기계를 만들어내고 있다.배추벌레나 지렁이의 운동을 배운다미소기계의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운동원리가 있겠으나 보편적으로 개발된 ... ...
1. 과학고 KAIST는 과
학자
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본질에 비춰 보면 확실히 그릇된 생각임을 알 수 있어요"라고 말했다.물론 20세기 과
학자
의 대명사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의지와 동기로 대성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이 영재교육을 받았더라면 더 위대한 업적을 남겼을지도 모른다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다른 이론을 스스로 체계화할 수 있는 신념과 능력이 필요할 경우도 있다.저명한 미래
학자
인 앨빈 토플러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지금은 과학기술이 점차 영향을 증대하고 있는 시기이며, 앞으로 21세기에는 과학기술의 변혁이 우리 인류문명을 보다 큰 폭으로 좌우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 ...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것은 마치 인간이 스스로 날 수 있는 섬을 발견한 것과 같은 기적이다"라고 MIT의 언어
학자
촘스키는 말한다.그러나 칸지의 보호자들은 이 영리한 원숭이가 더 많은 놀라운 일을 하리라고 기대하고 있다. 칸지는 이제 6백50개의 문장을 이해할 수 있다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소용돌이 은하'로 불린다. 이것은 1845년 로드 로제(Lord Rosse, 1800~1867, 영국 천문
학자
)에 의해 밝혀진 최초의 나선 은하이다. 이 은하의 특징은 나선 팔의 한 쪽 끝에 작은 위성 은하가 보인다는 것이다.밝기는 8등급으로 관측조건이 좋다면 쌍안경으로 뿌연 안개 덩어리를 볼 수 있다. 아마추어들이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어류는 동양 3국에만 서식하는 종으로 패류에 산란하는 특징 때문에 어류
학자
와 패류
학자
가 공동으로 연구해야 할 대상이다. 이 어류는 사육이 쉽고 색이 고우며 맵시도 예쁘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는 어종들이다. 관상용으로 개발하려면 패류사육이 필수적임은 물론이다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인력의 수급에 관해서 '이만한 국민소득일 때 일본은 전자공
학자
가 이만큼 필요했다'는 주먹구구식의 계획을 짜고 있는 정부의 안이한 태도도 문제다.학부과정에서는 전공을 너무 세분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지적도 많다. 한국과학기술원 학사부(종전의 과기대)의 경우 ... ...
이전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