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타의 원리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원리가 쉽게 무너질는지도 모른다.예를 들어 태양은 중성미자라는 입자를 생산하지만 과
학자
들이 기대하는 양에 훨씬 못 미친다. 어떤 이들은 태양 중심부의 극한 조건에서는 배타의 원리가 잘 적용되지 못함으로써 중성미자의 부족현상이 나타나는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 One of the glories of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색깔로 변하는데, 이것은 식물이 자라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소련의 유명한 천문
학자
슈클로프스키(Schlovski)같은 사람은 화성의 두 위성 포보스(Phobos)와 데이모스(Deimos)가 화성인이 이주하기 위해서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생명체는 발견되지 않았다이러한 화성인에 관한 ... ...
노벨상물리
학자
「존 바딘」별세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노벨상을 받은 최초의 사람이 되었다. 이 발견으로 바딘은 미국에서 가장 위대한 과
학자
중의 한사람으로 꼽히게 됐다. 초전도 이론은 87년 고온초전도체가 발표된 이후 미래의 핵심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초전도체의 이용분야는 초고속슈퍼컴퓨터 핵자기공명장치 자기부상열차 등 매우 광범위하다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유전인가, 환경인가. 이에 대한 논란은 뇌력(腦力)향상의 가능성 여부를 가름한다.
학자
들은 일관되게 "인간은 부모로부터 유전적 기질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살아가는 동안에 그 개인이 처해있는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한다. 즉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개인의 잠재적인 뇌력의 범위가 결정 ... ...
허블 망원경이 찍은 대폭풍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것이다. 다른 흰점들과 짙은 줄도 나타났다. 상세한 폭풍의 변화상은 그동안 과
학자
들이 예측하던 것과 일치하였으며 이 또한 대단히 만족스러운 결과다.토성의 폭풍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느냐고? 일반적으로 하부대기층으로부터 솟아오르는 가스라고 짐작된다. 토성의 대기는 암모니아로 ... ...
2월의 밤하늘 광기어린 늑대별과 귀여운 애완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시리우스는 태양에서 가까운 별로도 유명하다(약 9광년). 이러한 이유로 시리우스는 천문
학자
들의 흥미있는 관측대상이 되어왔다. 그런데 1862년 미국의 망원경제작자 알반 클라크는 18인치 굴절망원경을 제작해 그것을 시험하기 위해 시리우스를 관찰했는데 약 20년전 독일인 베셀이 예언했던 어두운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수준의 다른 과
학자
들보다 3~5배가 되는 보수를 받고 있다고 한다.이러한 보상제도는 과
학자
들로 하여금 보다 더 적극적으로 연구에 임하는 태도를 가지게 했음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었다. 현재 이들은 다른 바이러스진단시약의 개발, 치료시약에 대한 연구 등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고 부지를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소화하고 있으면 아무리 어려운 내용이라도 학생들에게 이해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심리
학자
들의 주장이다. 바꿔 말하면, 교사가 이해 못하고 있는 내용을 학생들이 이해하리라고 기대한다는 것은 난센스라는 이야기다. '새수학' 재교육을 받던 교사들이 뜻도 모르고 새로운 수학용어며 정의를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무척 떨어진 외딴 나라인 모양이다."'곤여만국전도'는 1602년 마테오 리치가 명(明)의
학자
이지조(李之藻)와 함께 만들어서 목판으로 찍어 펴낸, 6폭의 커다란 타원형 세계지도다. 이지조는 마테오 리치를 도와 많은 서양 과학기술서를 중국어로 번역한 사람이다.이 지도는 그 당시 유럽에서 유행했던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나비자연의 모든 것은 먹고 먹히는 것들이다. 지난 1990년 플로리다 주립대학의 생물
학자
인 존 글렌디닝씨와 링컨 브라우어씨는 식용성과 생존성에 관련된 매우 재미있는 사례를 발표했다.제왕나비를 생각해보자. 이 나비는 여러면에서 매우 특이하다. 첫째, 제왕나비는 몹시도 큰 나비로서 그 ... ...
이전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