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나비자연의 모든 것은 먹고 먹히는 것들이다. 지난 1990년 플로리다 주립대학의 생물
학자
인 존 글렌디닝씨와 링컨 브라우어씨는 식용성과 생존성에 관련된 매우 재미있는 사례를 발표했다.제왕나비를 생각해보자. 이 나비는 여러면에서 매우 특이하다. 첫째, 제왕나비는 몹시도 큰 나비로서 그 ... ...
자동차를 순식간에 쇳덩어리로 녹여버리는 1백만W 전구는 어디에 쓰일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발생시키는 에너지공급용으로 이 전구가 이상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 연구소의 물리
학자
자파타는 "10~20암페어(A)의 정상전류로 아크를 유지하고 4백~5백A의 밀리초 펄스쇼크(pulse shock)를 주면 이 섬광에 대응하여 강판을 관통할 정도의 야그(YAG)레이저가 발생한다"고 말한다.고출력 레이저를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노벨상을 수상케 한 결정적인 원인이 됐던 것이다.그의 소원에 따라 그의 몸은 죽은 후 의
학자
에 의해서 해부됐고, 그의 위대한 뇌도 역시 연구자료로 쓰여지게 됐다.마비 상태에서도 연구에 몰두블랙홀(black hole)이론에 전기를 마련한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박사의 이론은 매우 새로운 것으로 ... ...
PARTⅠ 대폭발로 시작된 우주 원자보다 작은 「우주 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2배 3배……먼 은하는 각각 2배 3배……더 빨리 팽창하고 있어야만 했다. 오늘날 천문
학자
들은 이러한 허블 우주를 '팽창우주'라고 부른다. 따라서 영화 필름을 거꾸로 돌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거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 경우, 이번에는 먼 은하일수록 더 빨리 우리에게 접근해와서 어느 시점에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우주의 나이는 얼마나 될까. 빅뱅(Big Bang)이후 현재까지 얼마나 세월이 흘렀을까. 천문
학자
들은 이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1929년 에드윈 허블이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이후, 거꾸로 시간을 돌리면 우주는 수축을 계속해 빅뱅순간의 한점에 도달한다는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만여점의 표본을 모아왔다고 해도 그것들이 모두 제대로 정리되지 못한 상태입니다. 남한
학자
들이 참여하면 남북한 비교도 할 수 있고 우리가 가질 수 없는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어 좋은 결과를 낳으리라고 봅니다. 또 헝가리연구팀이 남한의 동물도 연구해 한반도 전체의 동물상을 밝혀냈으면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화가는 노을의 아름다움을 표현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공감을 얻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과
학자
가 현실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비해 예술가는 현실을 미화하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리브는 강조한다.전갈이 지구를 지배할지도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환경의 훼손이 인류를 멸망에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자취를 감춘다. 이 사실에 의문을 품고 연구를 시작한 사람은 핀란드의 이끼전문식물
학자
니런더박사였다. 그는 유럽각지의 공원에 서 있는 큰 나무, 정원에 놓인 돌 등을 조사했는데 대도시에서는 예외 없이 이끼종류가 먼저 사라지는 것을 발견했다.그뒤 대기오염의 정도와 지의류의 변화 사이의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한마디로 이렇다 하기에는 너무나 광범위한 분야다. 화학으로 평생을 보낸 선배화
학자
들에게도 매우 어려운 질문이라 할 수 있는데, 나같은 초심자에게는 두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정의를 내리려 한다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으리라.서로 다른 두가지 물질, 가령 A와 B가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치다.그러면 성운을 별이 형성될 수 있을만한 크기로 수축시키는 힘은 무엇일까. 천문
학자
들은 그 해답을 초신성 폭발에서 찾고 있다. 초신성은 질량이 태양의 수십배되는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대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이때 나오는 에너지는 태양의 수억배에 이른다.만약 성운의 ... ...
이전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