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상품에 대한 시장정보와 제품제조기술에 대한 최신정보를 얻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학자
는 매달 세계적으로 수천편씩 발표되는 논문들 중에서 자신이 참고할만한 논문이 얼마나 있는지 신경을 곤두세워야 한다. 일반인들이 놀러갈 때도 관광지의 숙박시설 교통편 여행비용 등 사전에 자세한 ... ...
블랙홀이 지구에도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 블랙홀은 그 질량이 지구전체의 높은 밀집도를 설명하기에 충분하며 이는 지질
학자
들의, 지구의 핵은 니켈과 철로 이루어져 있다는 가정을 불필요하게 만든다. 지구는 대신 온통 바위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물론 지구의 맨틀엔 "핫 스포트(뜨거운 지점)"들이 있다. 지구의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이식시킨 뒤 과연 푸른 장미가 피는가를 지켜보는 것이다."이 계획에 참여한 분자생물
학자
에드위나 코니시의 말이다.연구팀은 곧 이 '푸른'유전자를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페시엔스라는 박테리아에 삽입시킬 예정이다. 그런 다음 장미의 꽃잎에 상처를 입히고 그곳을 통해 장미가 전에 갖지 못했던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리끈이론에 큰 매력을 느끼고 있다. 그 까닭은 그 이론체계속에서 모든 물리
학자
의 꿈인 통일이론의 가능성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고대 동양의 철인(哲人)들이 확신하던 기(氣)의 본체를 밝혀주고 아울러 우리의 삶이 나아가야할 바를 가르쳐 줄 것이기 때문이다 ... ...
1억년전의 새화석 국내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모습으로 짐작컨대 오늘날의 새와 완전히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한국과 미국의 과
학자
들이 최근 확인한 삼천포의 새화석은 1억년전의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공룡의 전성기때 공룡과 함께 살았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화석화된 새의 발자국은 20군데에서 발견됐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 ...
바다에 음파쏘아 지구 온난화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못하는 반면 허드아일랜드에서 쓸 확성기의 소음도는 2백7데시벨로도 충분하다.한편 동물
학자
들은 돌고래나 다른 바다 포유류들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가 이 층이라고 생각하기에 음파측정 실험을 반대하고 있다. 실험에 쓰이는 소음이 동물생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에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않은 상태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관찰도 결코 용이한 작업이 아니기 때문이다.처음에
학자
들이 그 병원체를 바이러스로 보았던 까닭은 이렇다. 우선 당시의 과학적인 상식으로는 단순한 단백질이 질병을 일으킬 수 없었다. 또 설령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만으로 질병에 걸릴 수 있다 하더라도 이 ... ...
날씨와 심리변화 관계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춥고 흐린 날엔 맑은 날보다 더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가.미국 마이애미 대학의 심리
학자
인 빌 스틸스는 최근 뉴질랜드에서 열린 한 학술회의에서 '날씨와 심리상태는 크게 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 수십년간 학계와 일반인들에게 널리 인정받아온 소위 '계절에 영향받는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기초과학의 상징물로만 여겨졌던 가속기가 이제는 첨단산업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초전도 거대 가속기(SSC) 프로젝트의 참여가 확정되고 포항방사광 가속기(PLS)가 건설 ...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되며 돈과 인력을 댄만큼 철저히 배워와야 한다"는 것이 국내 물리
학자
들의 대다수 의견이다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꼬리를 수직으로 움직이며 전진한다. 고래의 지능은 대단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자
에 따라서는 사람의 뇌의 능력에 가깝다고 보기도 한다. 특히 돌고래의 지능은 굉장히 높다. 게다가 행동까지 익살스러워 수중묘기를 잘 부린다.대부분의 돌고래는 고래목의 이빨고래아목(亞目)의 ... ...
이전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