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리끈이론에 큰 매력을 느끼고 있다. 그 까닭은 그 이론체계속에서 모든 물리
학자
의 꿈인 통일이론의 가능성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고대 동양의 철인(哲人)들이 확신하던 기(氣)의 본체를 밝혀주고 아울러 우리의 삶이 나아가야할 바를 가르쳐 줄 것이기 때문이다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된다.또 사람의 세포와 대장균의 세포는 RNA의 합성원리가 서로 다르다는 점도 유전공
학자
들의 오랜 숙제였다. 일반적으로 아무런 조작을 가하지 않으면 사람의 유전자는 대장균에서 전사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NA합성은 RNA 중합효소(polymerase)라는 효소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때 사람과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꼬리를 수직으로 움직이며 전진한다. 고래의 지능은 대단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자
에 따라서는 사람의 뇌의 능력에 가깝다고 보기도 한다. 특히 돌고래의 지능은 굉장히 높다. 게다가 행동까지 익살스러워 수중묘기를 잘 부린다.대부분의 돌고래는 고래목의 이빨고래아목(亞目)의 ... ...
인간의 체취를 진정제로 쓴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다고 주장한다.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이들의 의견에 수긍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심리
학자
들의 경우 냄새와 감정의 관계는 생물학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어떤 냄새로 마음의 위안을 얻거나 즐거움을 느끼는 이유는 본능때문이 아니라 그 냄새를 맡았을 때의 사회적인 ... ...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점들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되고 있는 논쟁의 핵심적인 주제들이다. 현재의 많은 물리
학자
들은 아인슈타인의 인과율, 즉 국소성 원리가 깨지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한된' 비국소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양자이론을 옹호하고 있다. 즉 양자이론이 역학적 성격의 아인슈타인의 인과율(두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드나드는 시간까지를 감안했을 때 비행기보다 오히려 더 빠를 수 있다. 미국의 과
학자
들은 시속 5백km의 상업운전은 자기부상열차 이외에는 기술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을 내려놓고 있다. 더욱이 초전도 전자석을 만드는 기술이 현재 괄목할만한 수준에 있기 때문에 염가의 자기부상력을 쉽게 확보할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고온초전도현상발견(87년) 단백질자동합성(84년) 옥수수 전이유전자발견(83년) 등이 80년대 노벨상 과학부문의 돌출 사건이었다.지난 10년간(1980~89년) 과학부문의 노벨상을 받 ... 과
학자
들이 찾아와서 세계첨단과학을 접할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수십명의 과
학자
들이 이곳을 다녀왔다 ... ...
너무 먹어도 탈, 너무 안먹어도 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행동은 그의 걸식증세가 깊어졌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미국 코넬대학의 심리
학자
인 보스킨드 화이트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걸식증 모두 사회적 압박이 결정적인 발병인자라고 믿고 있다. 다시 말해 어떻게 해서라도 날씬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이 두 신종 정신질환을 등록시켰다는 ... ...
유럽과 북미에 2세대 오존층 구멍?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1985년 남극상공위의 오존층에 뚫려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과
학자
들은 계속해서 우리의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그들은 설령 '구멍의 주범'인 ... 산다고 해서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지구 성층권을 엉망으로 만든 오존층의 구멍은 때로
학자
들을 당황하게 할 정도로 변덕스럽기 때문이다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사퇴한 이회창씨는 그의 조카.'언제까지 강의를 계속할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과
학자
는 스스로 강의와 연구를 그만둘 때를 감지한다"고 이태규박사는 웃으며 말한다 ... ...
이전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