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행 잎 속에 담긴 「비방」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지 않을까.생각이 여기에 미친 박사장은 독일 대학에서 생화학을 연구하는 한국과
학자
5명을 찾아내 이들에게 은행잎 추출물질을 연구하게 했다. 마침내 1980년 징코플라본 글리코사이드(Ginkoflavon glycoside)가 개발되고 국제특허를 신청했다.그러자 곧 바로 슈바베측의 제소가 들어왔다. 자기들이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
학자
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올해의 노벨물리상은 선형가속기 실험을 통해 쿼크(quark)의 존재를 입증한 미국인 과
학자
제롬 프리드먼(60)과 헨리 켄들(63) 그리고 캐나다의 리처드 테일러(60) 세 사람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가 밝힌 이들의 수상이유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와 중성자에 내부구조가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나타나는 차이도 오랜 제작기간에서 그 원인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팔만대장경.
학자
들은 그것을 재주대장경(再雕大藏經)이라 부른다. 11세기 초에 제작됐던 1만여권에 달하는 대장경이 불행히도 1232년의 몽고침략으로 모두 불타 버리고 말았다. 고려정부는 강화도로 쫓겨가고 적을 몰아낼 가망이 ... ...
금이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거액의 지불을 요구받았을 때(사실은 지불한 적이 전혀 없지만), 노벨상을 수상한 화
학자
인 프리츠 하버씨는 독일의 빚을 갚기위해 바다에서 금을 캐내는 방법을 고안해 내는 착상에 이르렀다. 물론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말이다.결과적으로 하버씨가 예측했던 것보다는 적은 양의 금이 바다속에 ... ...
21세기에 도전하는 허준의 후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병원, 국공립한의과대학도 갖지 못한 실정이다. 지원과 투자의 부족은 한의
학자
들의 연구 의욕을 꺾고 있으나, 이런 상황에서 그나마도 발전해 온 것은 선배들의 노력과 땀의 결과라고 생각하며, 21세기에 사는 젊은 한의학도로서 도전의 꿈을 키워본다 ... ...
「두뇌 기능 지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때문에 동물실험결과를 그대로 적용시키기는 어려움이 많았다.87년 런던대학의 신경생물
학자
세미어 제키는 뉴욕신경과학연구소가 개최한 연구발표회에서, 양전자발광단층장치로 뇌를 촬영할 때 환자의 머리를 어떻게 고정시키는가가 가장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 ...
폭우가 쏟아지면 잎으로 우산을 만들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3)은 몇가지 영장류의 전이지표 자료를 나타낸 것이다. 피아제 (Piaget)라는 저명한 심리
학자
는 지능을 새로운 상황에서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한 옛 행위의 응용이라고 보았다. 이 개념은 원래 사람의 지능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다른 종들의 지능발달 지표로도 널리 ... ...
PARTⅡ 최고의 명예와 상금 걸린 노벨상 수상자 어떻게 결정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은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 총회에서, 의학·생리학상은 왕립카롤린스카의학연구소의 전문스태프진에 의해서 수상자가 최종결정된다.노 ... 못했지만, 이후 유전자조작이 인류의 멸망을 가져올지도 모른다는 위험성을 지적해 과
학자
로서 사명을 다하려고 애썼다 ... ...
맥주에 취한 쥐가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어쩌면 맥주의 소비량을 폭발적으로 늘려 놓을지도 모르는 이 실험은 미국 농무부의 영양
학자
레슬리 클레베이에 의해 이루어졌다.이 실험의 원래 목적은 구리의 결핍이 혈액내 콜레스테롤을 축적시켜 심장병을 유발한다는 종래의 학설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실제 클레베이는 쥐에게 구리가 적게 ... ...
남극의 얼음이 줄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조사된 바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의 상승이 남극의 얼음을 녹이는 가장 그럴듯한 이유. 과
학자
들은 1973년 이래 최고기온을 유지하는 여름기간이 길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고 있다. 결국 지금까지의 결론은 증가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이에 따른 온실효과가 남극 '얼음 유괴'의 주범이라는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