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나타나는 차이도 오랜 제작기간에서 그 원인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팔만대장경.
학자
들은 그것을 재주대장경(再雕大藏經)이라 부른다. 11세기 초에 제작됐던 1만여권에 달하는 대장경이 불행히도 1232년의 몽고침략으로 모두 불타 버리고 말았다. 고려정부는 강화도로 쫓겨가고 적을 몰아낼 가망이 ... ...
「두뇌 기능 지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때문에 동물실험결과를 그대로 적용시키기는 어려움이 많았다.87년 런던대학의 신경생물
학자
세미어 제키는 뉴욕신경과학연구소가 개최한 연구발표회에서, 양전자발광단층장치로 뇌를 촬영할 때 환자의 머리를 어떻게 고정시키는가가 가장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 ...
인간의 체취를 진정제로 쓴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다고 주장한다.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이들의 의견에 수긍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심리
학자
들의 경우 냄새와 감정의 관계는 생물학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어떤 냄새로 마음의 위안을 얻거나 즐거움을 느끼는 이유는 본능때문이 아니라 그 냄새를 맡았을 때의 사회적인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고온초전도현상발견(87년) 단백질자동합성(84년) 옥수수 전이유전자발견(83년) 등이 80년대 노벨상 과학부문의 돌출 사건이었다.지난 10년간(1980~89년) 과학부문의 노벨상을 받 ... 과
학자
들이 찾아와서 세계첨단과학을 접할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수십명의 과
학자
들이 이곳을 다녀왔다 ... ...
너무 먹어도 탈, 너무 안먹어도 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행동은 그의 걸식증세가 깊어졌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미국 코넬대학의 심리
학자
인 보스킨드 화이트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걸식증 모두 사회적 압박이 결정적인 발병인자라고 믿고 있다. 다시 말해 어떻게 해서라도 날씬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이 두 신종 정신질환을 등록시켰다는 ... ...
21세기에 도전하는 허준의 후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병원, 국공립한의과대학도 갖지 못한 실정이다. 지원과 투자의 부족은 한의
학자
들의 연구 의욕을 꺾고 있으나, 이런 상황에서 그나마도 발전해 온 것은 선배들의 노력과 땀의 결과라고 생각하며, 21세기에 사는 젊은 한의학도로서 도전의 꿈을 키워본다 ... ...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점들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되고 있는 논쟁의 핵심적인 주제들이다. 현재의 많은 물리
학자
들은 아인슈타인의 인과율, 즉 국소성 원리가 깨지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한된' 비국소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양자이론을 옹호하고 있다. 즉 양자이론이 역학적 성격의 아인슈타인의 인과율(두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
학자
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올해의 노벨물리상은 선형가속기 실험을 통해 쿼크(quark)의 존재를 입증한 미국인 과
학자
제롬 프리드먼(60)과 헨리 켄들(63) 그리고 캐나다의 리처드 테일러(60) 세 사람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가 밝힌 이들의 수상이유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와 중성자에 내부구조가 ... ...
맥주에 취한 쥐가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어쩌면 맥주의 소비량을 폭발적으로 늘려 놓을지도 모르는 이 실험은 미국 농무부의 영양
학자
레슬리 클레베이에 의해 이루어졌다.이 실험의 원래 목적은 구리의 결핍이 혈액내 콜레스테롤을 축적시켜 심장병을 유발한다는 종래의 학설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실제 클레베이는 쥐에게 구리가 적게 ... ...
암치료의 새로운 무기 등장해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이집트인들이 사용하던 의술의 비방이 6천년 만에 재현됐다. 미국 UCLA존슨암센터의 종양
학자
댄 카스트로에 의해 피부암 치료법으로 새롭게 조명된 것이다.그는 암환자의 정맥내로 염색물질을 주사했다. 그리고 적당한 파장의 레이저광선을 조사(照射)했다. 곧 이 빛은 염색물질과 반응을 하기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