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90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
2015.08.02
미국
연구진
이 개발했다. 손준호 연구원 등 한인 과학자가 포함된 미국 UC버클리
연구진
은 ‘LED(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를 이용해 빠른 시간 안에 PCR을 하는 기술을 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 31일자에 발표했다. 메르스를 확진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객담 등 샘플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의 특정 ... ...
플라스틱으로 전기회로 만드는 방법 찾았다
2015.07.31
부위에 인접한 그래핀 경계면은 전기를 전달하는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진
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스타이렌’이라는 고분자 재료를 이용해서 꼭 전기가 흐를 필요가 있는 부분에만 그래핀을 만든 것이다. 야쿠르트 병 등의 재료로도 쓰이는 이 플라스틱은 빛을 쪼여 ... ...
30분 안에 인플루엔자 확진 진단기 개발
2015.07.31
대형 검사장비가 갖춰진 장소로 이송한 후 6시간 이상 분석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
은 복잡한 분자진단검사 과정을 간략하게 줄여 검사 시간을 대폭 단축했다. 여러 개의 가느다란 튜브를 사용해 시약 검사를 한 번만 진행해도 미생물을 여러 종 검출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 미생물에 ... ...
2cm 몸으로 14cm 점프 ‘소금쟁이 로봇’
2015.07.31
되돌아오는 특성이 있어 로봇이 물에 떠 있을 때와 도약할 때 다리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연구진
은 다리에 초경량 액추에이터(구동 장치)를 달아 다리의 힘이 물의 표면장력보다 작아지도록 조절했다. 조 교수는 “그동안 소금쟁이가 수면 위를 미끄러지듯 달리는 과정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는데 ... ...
당뇨병 치료제로 타이레놀 부작용 막는다
2015.07.30
과다 투여하자 급성 간독성이 2배가량 증가하고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
은 GADD45β 유전자를 발현시켜 간독성을 줄이는 약물 역시 찾아냈다. 흔히 당뇨병 치료제로 쓰이는 ‘메트포민’을 쥐에게 투여하자 간 손상 유발하는 주원인 중의 하나인 ‘JNK효소’가 둔화돼 간 손상이 ... ...
노인도 ‘몸짱’ 될 수 있는 방법 찾아냈다
2015.07.29
이 단백질이 늘어나면 근육 분화 및 재생 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낸 것이다.
연구진
은 생쥐 실험을 통해 근육이 손상된 생쥐에 miR-431를 주입하면 젊은 근육처럼 근육 재생이 빨라진다는 사실 역시 알아냈다. 권 연구원은 “근육줄기세포를 회춘시키는 조절 인자로 마이크로RNA가 ... ...
“스마트폰 적당히 쓰세요”
2015.07.29
과다사용을 막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회의나 각종 모임 시 집중을 방해하는 스마트폰 사용을 단체로 차단할 수 있고, 어린이들의 스마트폰 허용시간도 지정해 줄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걸로 보인다. 이의진 KAIST 지식서비스공학과 교수팀은 스마트폰 ... ...
유전자 물질 이용한 암·치매 치료 원리 찾았다
2015.07.29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유전병이나 암과 같이 유전자의 이상으로 생기는 질병을 치료할 신개념 치료법 개발의 단초를 마련했다. 심해홍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사진)팀은 인체가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에서 핵단백질(U2AF65)의 발현 정도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29일 밝혔다. ... ...
저장 용량은 수백 배, 동작 속도는 수천 배 빠른 메모리
2015.07.28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미래형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성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유천열 인하대 물리학과 교수(사진)팀은 그간 중금속과 자성체의 경계면에서 이론적으로만 예측되던 ‘비대칭 교환 상호작용(DMI)’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차세대 ... ...
부작용 없는 임플란트 재료 나온다
2015.07.28
KIST) 제공 한국
연구진
이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진
이 생체이식에 사용되는 생체재료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재료의 체내 증식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인공 수정체나 혈관 스텐트 수술 후 세포의 과다증식으로 인해 생기는 부작용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호정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이전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