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양말처럼 편한 구두, 3D 스캐너로 만든다
2015.07.22
이용해 발에 꼭 맞는 맞춤형 구두를 빠른 시일 안에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맞춤 구두 제작기간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어 수제 구두산업 발전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퇴직 과학자인 조맹섭 박사는 3D 스캐너와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맞춤형 ... ...
새 대장암 치료제 나온다
2015.07.22
기능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만들어 새로운 개념의 암치료제를 개발하는 단초도 마련했다.
연구진
은 윈트 신호전달계를 활성화해 베타카테닌을 축적시키는 단백질(PLD1)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PLD1이 생성되지 않게 유전자를 조작한 쥐와 대장암이 생기게 한 쥐를 교배한 결과 대장암 발병률이 10분의 ... ...
[Health&Beauty]‘통증의 왕’ 대상포진… 당뇨병 환자에서 발병위험 3배 높아
동아일보
l
2015.07.22
따르면 당뇨병이 있는 경우 대상포진의 발생 위험이 일반인에 비해 2.44배 높았다. 스페인
연구진
도 당뇨병 환자의 발생 위험이 2.1배 높다고 밝혔다. 당뇨병 환자들은 세포매개면역 기능이 일반인에 비해 상당히 저하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상포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이 필수다. ... ...
혈관과 뼈 동시에 3D프린터로 출력
2015.07.21
내부 깊숙한 곳까지 골고루 분포해야 하는데 이렇게 만들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진
은 출력하려는 조직의 구조 형성을 돕는 지지체를 3D프린터로 출력하는 동시에 뼈와 혈관으로 모두 분화할 수 있는 치수줄기세포를 심는 방식으로 뼈 조직을 만들었다. 치수줄기세포는 신경과 혈관이 많이 ... ...
‘꿈의 전자파’ 안전하게 사용하는 기준 밝혔다
2015.07.21
전자파로 피부나 물질에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내
연구진
은 테라헤르츠파의 세기를 강하게 증폭시키면 물질의 구조에 변형을 초래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테라헤르츠파 광원을 이용하는 분야에서 안전한 사용 범위를 규정하는 데 ... ...
‘독한 놈들’ 인공 세포막으로 확인한다
2015.07.21
물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생체 내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게 일반적이다. 최근 국내
연구진
은 생체 외 인공세포막을 이용해 물질이 세포막을 교란시키는 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전태준 인하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김선민 기계공학과 교수가 공동으로 이끄는 융합연구팀은 신약 ... ...
뜨거워진 스마트폰, 어떻게 식히나
2015.07.20
강유전체는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하지 않아도 양극과 음극 상태를 유지하는 물질이다.
연구진
이 강유전체를 반도체 소자로 사용했더니 가해진 전압보다 더 큰 효과를 냈다. 가령, 외부에서 1V의 전압을 준다면 축전기 내부에는 그 보다 큰 전압이 생겨 적은 전압으로도 소자를 구동할 수 있는 ... ...
과거 떠오르게 하는 ‘마들렌’ 같은 영화
2015.07.19
영화의 추억팔이 기능이 성공해 뇌가 시간 여행을 경험했다는 증거일 것이다. 영국
연구진
은 2010년 ‘심리과학저널’에 사람은 과거나 미래를 생각할 때 자세의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크론에스테시아의 존재를 밝혀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20명의 몸에 운동 센서를 부착하고 ... ...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반응을 보였다. 통증 인식과 감정적인 고통이 별개로 처리됨을 보여준 것이다.
연구진
은 이어서 통증으로 인한 공포 기억이 CGRP 수용체를 가진 편도핵 신경세포에 저장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편도핵에서 CGRP 수용체를 가진 신경세포를 억제했을 때는 통증을 가해도 공포 기억이 저장되지 않는 ... ...
인공피부용 재료, 레이저로 간단히 제작
2015.07.19
센서를 만드는 데 필수 재료인 나노와이어를 레이저를 이용해 만드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
에 의해 개발됐다. 고승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은 레이저를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나노와이어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나노와이어를 활용한 센서는 기존의 ... ...
이전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