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설
인공
제작
제조
처리
d라이브러리
"
가공
"(으)로 총 991건 검색되었습니다.
1. 21세기 기술혁명 꿈꾸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10
초소형 기어축과 베어링 등을 이용해 현미경 부품을 만들어 학회에 발표했다. 미세
가공
기술을 이용해 실리콘 기판 위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계 부품을 만든 것이다.88년 7월에는 이 대학 전기공학과 교수인 리처드 뮬러와 대학원생 롱생 팡, 유총 타이 팀은 지름이 1백20㎛인 마이크로모터를 제작해 ... ...
2. 로봇의사가 몸속 누비며 진찰
과학동아
l
199510
전망이다.그러나 마이크로머신의 앞날이 장미빛만은 아니다. 기존의 반도체 반도체
가공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특성상 2.5차원의 구조물 밖에는 못만들고 있고, 크기가 비약적으로 작아지면서 작용하는 힘의 우선순위가 뒤바뀌어 설계 및 제작의 장벽이 되고 있다.완벽한 3차원 구조물을 만들기 ... ...
4. 마이크로·나노세계 여는 신기술들
과학동아
l
199510
나타나는 소자의 특성은 기존 소자와는 확연히 다르다. 이들은 기존의 매크로부품
가공
기술과는 전혀 다른 제작방법이 사용된다.지금부터 새로운 소자와 초소형 부품제작기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이러한 구조물은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초소형 모터나 기어와 같은 수십 마이크로미터(${10 ... ...
컴퓨터 바이러스 응급처치
과학동아
l
199510
새롭게 만들어진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무력하다.얼마전 인터넷에 Good Times라는
가공
할 바이러스가 나타났다는 소문이 떠돌아 전세계를 긴장케 한 적이 있다. 소문에 의하면 이 바이러스는 Good Times라는 제목의 전자우편을 보내며 인터넷 사용자가 이 편지를 읽거나 받는 순간 바이러스가 ... ...
3. 세계 최소 분자 인물화 제작 성공
과학동아
l
199510
사용되는 최소선폭이 0.3㎛인데, NTT가 개발한 방법으로는 이보다 1백배 이상 좁게
가공
할 수 있다.1991년 IBM 알마덴연구센터에서는 단원자스위치(single atom switch)를 발견했다. 스위치의 교환으로 Xe원자의 위치가 변화해 두 전극 사이에서 측정되는 저항과 관통(tunneling) 전류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는 ... ...
지렁이 이용, 죽은 땅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09
1994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이러한 여건을 감안, 1994년 필자가 지렁이를 건조
가공
해 인공 지렁이를 낚시미끼용으로 개발해 특허를 출원하고 견본으로 미국에 선보인 결과, 유통업자들에게 상당한 호응과 수입상담이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미국에 상당량을 수출, 많은 외화 획득의 기회를 ... ...
화장
과학동아
l
199509
가렌이 제조한 콜드크림의 원형(原型)도 돼지기름을
가공
한 것이다. 읍루인들이
가공
한 돼지기름을 피부보호제로 사용하였다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이보다 진보한 미용사례가 단군신화에 나타나 있다. 단군신화에 따르면 한민족의 첫 주거지가 단목(檀木 : 박달 나무) 근처라고 하는데 이는 ... ...
'나비 천국' 계방산·발왕산
과학동아
l
199509
'환경부 장관의 허가 또는 다른 법령에 의한 인가 등을 받지 않고 포획·채취·이식·수출·
가공
·유통 또는 보관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3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겁주는' 조항이 달라 붙어 있다.이에 대해 신 박사는 "내게 3백만원 말고 10만원만 줘도 여러분 고발하지 않겠다"고 우스갯 ... ...
비타민 8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09
물론 식품조리중에도 쉽게 손실 및 파괴될 수 있는 반면 미네랄은 일반적인 조리 및
가공
과정에 영향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용성 비타민인 B군은 씻는 과정이나 물에 담가두는 과정에 물에 녹아 손실되고 비타민 C는 열에 약해 조리중 다량 파괴된다. 생 시금치 속에 들어있는 비타민 C의 양에 ... ...
전통 한지
과학동아
l
199508
그렇지 못하다'고 언급한 대목이 있다. 이로써 고려시대 때 이미 종이를 만든 다음 2차
가공
, 즉 다듬질하는 방법을 개발한 선조들의 우수한 두뇌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매끄럽고 질긴 종이, 해외서도 칭송습지를 형성하는 것을 우리는 '종이 뜬다'고 표현하지 '종이 거른다'고 하지 않는다. 반면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