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돌아온 배달의 달인 ‘산타다 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4
마이클, 루카스 등 굉장히 많았다.“어? 그런데 사슴 한 마리가 안 보이네? 혹시 누구
본
사람 있나? 자리를 비운 사슴을 좀 찾아달라고~”미션3 굴뚝을 통과하라~!“이제 드디어 사슴을 찾아서 집에 도착했어. 굴뚝을 타고 안으로 들어가야겠군.그런데 요즘은 굴뚝이 너무 복잡한 게 많단 말이야 ... ...
현무암에서 화석 찾지 말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2
돌이 될 만큼 오래 품고 있을 수가 없답니다.그럼 화석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만화를
본
친구들이라면 잘 알겠죠? 화석은 흙이나 모래 같은 퇴적물이 쌓여 굳은 퇴적암 속에서만 나와요. 퇴적물이 쌓이는 과정을 ‘퇴적’, 쌓인 퇴적물이 단단하게 굳는 과정을 ‘암석화’라고 하지요. 화석이 되는 ... ...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1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혹시 공작새를
본
적이 있나요? 공작은 정말 멋진 새예요. 새 중에서 상당히 크고 깃털은 화려하기 그지없어요. 특히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은 커다란 청록색 날개를 부채처럼 펼치고 흔들어요. 그런데 영국의 박물학자 찰스 다윈은 이런 멋진 공작을 보면 ‘역겹다’고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0
부르는 베짱이가 바로 여치의 한 종류예요.그런데 친구들 혹시 여치의 노래를 들어
본
적 있나요? 왜 여치의 노래는 귀뚜라미 노래처럼 익숙하지 않은 걸까요? 여치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소리는 공기압력의 변화가 전달되는 것이에요. 공기압력의 변화는 우리 귀에 있는 고막을 통해 감지할 ... ...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본
초록빛 오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9
엷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들어요. 북극지방에서 오로라를 직접
본
사람들은 하늘에 초록빛 커튼이 휘날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답니다 ... ...
빈틈없는 유격훈련 조교 ‘대충하지 마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9
참가한 올빼미들~, 오늘 같이 뜻 깊은 날 만나서 겁나게 반갑습니다.
본
조교는 악명 높기로 유명한….”10월 1일은 국군의 날이다. 우리 국군의 자신감 있는 모습을 알리고, 군인들에게 사기를 올려 주려고 지정한 날이다. 한국전쟁 동안 밀려있던 우리 국군이 38선을 넘어 반격한 날이 1950년 10월 ... ...
눈부시게 잠 못 드는 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않게 커튼을 쳐보세요!소중한 자연의 빛을 지켜라여러분은 밤하늘에서 은하수를
본
적이 있나요? 거리의 조명이 지금처럼 밝지 않았던 옛날에는 하늘에서 맨눈으로 수천 개의 별과 은하수를 볼 수 있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눈부신 조명 탓에 대도시에서는 은하수는 커녕 별도 몇 개 보이지 않지요. ... ...
국립도서관 사서 ‘다바쓰믄 돌리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만들어라~!“책을 빌리기 위해서는 도서대출증을 만들어야 합니다.”도서대출증에는
본
인 확인을 위해서 사진을 넣어야 한다. 사진은 2층 사진관에서 찍을 수 있는데, 독특한 점은 사진이 조각 퍼즐로 나온다는 사실이다.미션2 출입구를 통과하라~!“도서대출증을 만드셨군요. 이제 책을 마음대로 ... ...
TWINS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수업을 들을 땐 시간이 천천히 가고, 친구들이랑 게임을 할 땐 시간이 빨리 간다고 느껴
본
적 있지? 이렇게 ‘움직이는 시간이 다르다’는 상황에 딱 떠오르는 건 바로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일수록 시간이 느리게 간다는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했지. 예를 들어 빛의 속도로 ... ...
보름달 VS 슈퍼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말이에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그해의 가장 작은 달인 미니문보다 지구에서
본
달의 지름 크기가 최대 14% 더 크고 30% 더 밝은 달을 슈퍼문이라고 정의했어요.슈퍼문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달의 공전 궤도에 있어요. 달의 공전 궤도는 타원형이기 때문에 달이 지구로부터 멀어졌다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