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종료
d라이브러리
"
마침
"(으)로 총 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생한 현장경험, 나와 학생에게 모두 유익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임성 저는 제주도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아직까지 가보지 못한 곳이 더러 있어요. 이번에
마침
자연탐사기회가 있어 생태계를 엿볼 수 있는 곳들을 둘러본 것이 크게 도움이 됐읍니다. 생태계의 개념을 새롭게 이해한 것에서부터 조사방법에 이르기까지 좋은 학습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김강 그동안 ... ...
Ⅲ바다의 폭도-해일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그림에서는 칠레의 해안선에 직각인 방향을 큰 원을 따라 선으로 그리고 있다. 이 선이
마침
극동연안에 거의 직각으로 부딪쳐 피해가 커진 한 원인으로 보인다. 칠레해일과 같은 먼곳의 해일 습격을 받기전에 극동에서 그 지진을 느낄수는 없다. 그러므로 당시는이 해일에 대한 예보나 경고 ... ...
독일이 화학에서 선두를 차지한 까닭은? 기센대학과 「리비히」의 실험교육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A. 훔볼트를 파리에 오래동안 머물게 하면서 새로운 학문의 동향을 빠르게 입수하였다.
마침
이 무렵 파리에 유학중이던 청년 리비히는 A. 훔볼트와 알게 되었는데 그는 프랑스화학을 독일에 이식하기 위해서 리비히를 기센대학에 소개하였다. 당시의 화학교육은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부엌이나 ... ...
우주개발에서도「MADE IN JAPAN」시대가 올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시장에의 진출 취재팀이 우주개발사업단 타네가시마 센터를 찾았을 때는
마침
H-1로케트 발사준비가 한창이었다. “새로운 로케트계획은 이 열대의 섬을 세계에서도 굴지의 우주항으로 변모 시키려 하고 있다. 그 시설은 뛰어난 현대적인 것이다” AW지는 이렇게 리포트하고 있다. 그러나 발사관계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움츠러들어 붕괴되면서 하루밤사이에 사라지기도 한다.주기적인 빙하시대는 왜 생기는가
마침
내 사람들은 단한번이 아닌 수차례의 길고 규칙적인 빙하시대가 지구에 있었음을 알게되었다. 또한 앞으로도 지구에는 빙하시대가 도래함을 예상하게 되었다. 그런데 무엇이 이러한 빙하시대를 ... ...
승용차 프라이드 생산 실무책임자 신동영 기아산업이사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어 자동차산업에 대한 세인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
마침
새모델 프라이드를 내놓는데 실무책임을 맡았던 신동영씨(45 기아산업 승용차개발 담당이사)를 만나 프라이드개발의 이모저모와 국내 자동차산업의 현위치와 미래에 대해 물어보았다. -새로운 소형승용차 ... ...
제임스D.왓슨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유기화학공부에서 흥미를 느끼지 못했었으며 코펜하겐에 와서도 마찬가지였다.
마침
1951년 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열린 생물세포에 관한 학술회의에 참석했던 왓슨은 런던 킹즈 칼리지의 모리스월킨스가 발표한 DNA의 결정X선 해석상을 보고 바로 그것이 유전자가 아닐까하고 직감했다. 그는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회장 신동소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작년 한 해동안에도 70만t의 고지(古紙)를 외국에서 들여와 1억달러 이상을 썼다.
마침
지난 11월 21일 국제종이기술세미나를 개최한 한국펄프종이공학회의 신동소(辛東韶ㆍ55ㆍ서울농대 교수)회장으로부터 종이에 관해 궁금한 점을 알아 보았다. ▲우선 종이는 어떻게 만들어집니까."통나무를 물에 ... ...
'나의 목표는 과학과 정치의 접목'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연구생활을 하고 나니 이제는 귀국해서도 내 몫을 할수 있겠구나 하는 자신을 갖게 됐죠.
마침
그때 나를 유학시켜준 풍한방직의 김영구 회장님께서 이제는 돌아와 조국에서 일하는 것이 어때 하면서 귀국을 종용하시더군요. 그래서 풍한방직에 몸담게 되었읍니다”△귀국한지 얼마안돼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속리산채집여행때 세계에서 가장 작은 잠자리를 잡은 것도 잊을 수 없는 사건입니다.
마침
장마비가 그쳐 혼자서 개울가의 잡목 우거진 곳을 살피고있다가 우연히 조그마한 잠자리를 잡게된 것인데요. 길이가 16mm밖에 안돼 처음에는 영양부족때문인줄 알았읍니다. 나중에 숙소에서 도감과 ... ...
이전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