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애"(으)로 총 2,22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전자 의수, 인공 장기에 이르기까지 전 신체는 설계 가능한 대상으로 변했다. 질병과 장애, 노화에 대한 우리의 대처는 치료가 아닌 대체와 강화로 바뀌었으며, 이에 따른 신체와 지적 능력의 확장은 끝을 가늠하기 어렵다.인간인 듯 인간이 아닌 또 다른 존재. 머잖아 눈앞에 등장할 그들에게 우린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4년 3월 TED 강연). ‘바이옴(BiOM)’이라는 이 최첨단 전자 의족은 지금까지 1000여 명의 절단장애인에게 적용됐다. 에이드리언에게 적용된 무용가 전용 의족의 가격은 25만 달러(약 2억9000만 원)로 알려졌다. 전자 피부청각, 후각, 촉각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돼 있다. 고현협 UNIST 에너지및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의료 복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인체 플랫폼화 기술의 1차 목표는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겁니다. 의지만 있다면 상용화도 가능할 거라고 봐요. 좀 더 큰 그림도 그려야지요. ‘바이오닉 암’이라는 통합된 결과물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개발하게 될 세부 기술들, 그러니까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7 no. 4 384-403).이불 밖에서 화분을 키우세요자신감 부족도 이불 밖으로 나서는 것을 막는 장애물이다. 심리학자들은 자신이 하는 일의 결과를 예측하고 목표 설정하는 데에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능력을 믿는 이들은 무엇이든 하는 일이 잘 될 거라고 여기는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뒤 사물을 인식하는 데 성공했지요. 이 장치는 인공망막에 비해 매우 저렴하면서도 시각장애인을 도울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답니다.인공망막 수술 세계 최초 성공!망막의 역할을 대신하는 인공망막을 만들려면 빛을 받아들인 뒤, 빛이 가진 정보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이 신호를 시신경에 전달하는 ...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대한소아과학회지’ 2009년 11월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학대 아동 24명 중 25%가 발달장애를 앓고 있고, 정신과적인 후유증을 겪는 경우도 54%에 달했다(doi: 10.3345/kjp.2009.52.11.1207).황 교수팀은 1987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대병원 학대아동보호팀이 개입한 아동학대 사례 76건 중 24건을 추적 조사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진화적 관점에서 연구하겠다고? 이 친구 인류를 유전학적으로 개량하겠다며 유대인, 장애인, 흑인 등 ‘열등한’ 인종을 학살했던 나치 우생학을 떠받드는 것 아냐?’ 펜로즈는 이타성이 과연 해결해야 할 문제인지조차 의문이라고 점잖게 말했다. 이타적 행동 말고 당시 그의 연구실에서 수행하던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황준원 강원대 의대 교수는 논문에서 학대 아동의 25%가 발달장애를 앓고 있다고 밝혔다(1파트 참조).뇌를 진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요법(EMDR)’이 있다. 왼쪽과 오른쪽으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빛을 따라 눈을 좌우로 움직인다. 하 박사는 “EMDR은 ... ...
- [과학뉴스] 구글이 밝힌 무인자동차의 첫 실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근에서 SUV를 개조한 구글의 무인차와 버스가 충돌했다. 무인차가 도로에 떨어져 있는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방향을 틀었다가 차선으로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뒤따르던 버스와 부딪힌 것이다. 당시 무인차의 속도는 시속 3km, 버스의 속도는 24km 정도였다. 무인차에는 비상상황을 대비해 구글 ... ...
- [과학뉴스]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구체적인 과정은 그동안 규명되지 않았다”며 “뇌인지 발달 장애 연구와 치료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뉴런’ 온라인판 2월 25일자에 실렸다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