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25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반응을 촉매한다. 감귤류 10종의 AAT 효소를 비교한 결과 오렌지와 포멜라만이 305번째
위치
에 아미노산 타이로신이 끼어들어 활성이 커진 유전형으로 밝혀졌다. 이 유전형의 기원은 포멜라라는 뜻이다. 보통 과실수의 육종은 잡종 식물체를 키워 열린 열매로 평가한 뒤 식물체를 선별해 다시 교배를 ... ...
핵심광물 탈중국화 눈앞…"2025년 카자흐스탄 리튬 채굴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여부를 협의해야 한다. 한국이 당장 채굴할 가능성이 높은 광산은 카자흐스탄 동부에
위치
한 ‘바케노 리튬 페그마타이트 부존 지역’이다. 박 센터장은 “바케노 광산의 암석에서 리튬을 얼마나 뽑아낼 수 있는지 조사해봤는데 평균 2.1%에 달해 결과가 고무적이다”라 “광산의 금속 매장량 ... ...
미국 의료진이 스위스 인공조직에 로봇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눈에 들어간 금속 찌꺼기를 제거하는 데 활용됐다. 20여 년 전부터 인체의 정확한
위치
로 치료제를 전달하는 데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해졌다. 의료 분야에 서 자기장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초 희토류 합금인 네오디뮴이 발견되면서다. 네오디뮴은 강한 자화 상태를 오래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린 별의 성장을 방해하는 자외선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24.03.03
JWST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거대 우주망원경을 사용해 오리온 성운 내부에
위치
한 원시 행성 원반인 'd203-506'을 관측해 얻은 성과다. 연구팀은 d203-506에서 원시 행성 원반 표면이 강한 자외선의 영향을 받는 영역인 광해리 영역(PDR)을 관측한 뒤 분석했다. 이를 통해 d203-506이 원자외선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유인원 꼬리 퇴화시킨 '트랜스포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2
트랜스포존은 하나의 유전자가 스스로를 복사한 다음 다른 유전자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위치
를 이동하는 ‘이동 유전자’를 의미한다. 트랜스포존이 삽입되면 유전자의 구조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팀은 꼬리 발달에 중요한 유전자인 TBXT의 비암호화된 부분에 트랜스포존 삽입이 ... ...
문헌으로만 전해진 조선 후기 '남병철 혼천의'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상황에 맞는 천체 관측이 가능하다. 고리를 조절하면 지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천체의
위치
를 표현해 적경과 적위를 측정할 수 있다. 고도와 방위 측정이 가능하며, 태양의 운동을 기준 삼아 사용되는 황도좌표계의 황경과 황위를 측정할 수 있다. 김상혁 책임연구원은 "남병철의 혼천의를 ... ...
사람에게 꼬리 없는 이유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그 결과 인간과 유인원은 꼬리 발달과 연관이 있는 유전자인 TBXT라는 유전자의 동일한
위치
에 Alu라는 DNA 조각이 삽입돼 있었다는 점을 알아냈다. Alu는 스스로 복제하며 다른 유전자의 염기서열 사이에 들어가 단백질 합성 등의 변화를 일으킨다. 연구팀은 Alu 삽입이 실제로 꼬리 유무에 영향을 ... ...
신현석 성균관대 교수, IBS 양자 소재 분야 신규 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IBS) 신규 연구단장으로 선임됐다. IBS는 신 신임 단장이 내달 1일부터 성균관대에
위치
한 '이차원 양자 헤테로구조체 연구단'을 이끌게 됐다고 29일 밝혔다. 신 단장은 포스텍에서 화학 박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과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포스텍 연구교수, 울산과학기술원 ... ...
우수 농작물 개량 핵심 '감수분열' 100년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단백질 간 네트워크가 교차 촉진인자 단백질인 ‘HEI10’의 분해를 조절해 교차 간섭과
위치
를 제어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 교차 간섭과 억제 경로를 찾기 위해 유전학적 기법을 적용해 100년 동안 미궁에 빠져있던 생명과학계의 난제를 해결한 것이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를 농업 ... ...
mRNA 보호하는 '혼합 꼬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꼬리의 분해 지연 효과를 정량화했다. 연구팀은 탈아데닐 복합체의 진행이 지연되는
위치
를 확인했고 탈아데닐 복합체의 구성 요소들이 비 아데닌 염기에 의해 막혀 분해 속도가 조절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김빛내리 단장은 “mRNA 혼합 꼬리 조절에 대한 이해를 확장해 mRNA 안정성 조절과 유전자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